개의 후각, 인간의 심리적 스트레스까지 파악한다

이승구 2022. 9. 29. 1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는 후각과 청각이 뛰어난 동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개가 인간의 땀과 호흡에 배어있는 냄새를 통해 심리적 스트레스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스트레스에 반응해 인체가 생성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변화와 연관된 냄새를 개가 감지할 수 있다고 결론짓고,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나 불안 증세 치료 보조견 훈련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英연구팀 "땀·호흡 속 스트레스 냄새 93.75% 정확도로 가려내"
"개의 후각, PTSD나 불안 증세 치료 보조견 훈련에 응용 가능"
게티이미지뱅크
 
개는 후각과 청각이 뛰어난 동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후각이 뛰어나 폭발물이나 마약탐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그런데 개가 인간의 땀과 호흡에 배어있는 냄새를 통해 심리적 스트레스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 정확도는 무려 93.75%에 달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나 불안 증세 치료 보조견 훈련에도 응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영국 벨파스트 퀸즈대 연구진은 후각이 뛰어난 개가 인간의 심리적 상태를 반영한 체취를 감지할 수 있는지를 연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가축화돼 인간 옆에서 생활해온 개가 후각을 활용해 인간의 심리적 상태에 따른 화학 신호 변화를 알아챌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인간의 땀과 호흡 시료 중 스트레스를 찾아내는 실험견. PLOS ONE 논문 캡처. 연합뉴스
 
연구진은 우선 식사나 음주를 하지 않은 비흡연자에게 어려운 수학 문제를 제시하고 문제를 풀기 전과 후의 땀과 호흡 시료를 채취했다. 또 문제를 풀면서 느낀 스트레스를 스스로 평가하게 하고, 심장박동과 혈압 등 객관적인 생리 지표도 측정했다.

연구진은 수학 문제를 푸느라 스트레스가 증가했다고 밝히고 실제 심박과 혈압이 증가한 36명의 땀과 호흡 시료를 3시간 이내에 사전에 훈련된 네 마리의 개에게 맡게 했다. 

이 개들은 먹이 등을 이용해 냄새를 구분하는 훈련을 받았는데, 수학 문제를 풀기 전 스트레스가 없을 때 채취한 시료 사이에서 문제를 푸느라 스트레스를 받을 때 채취한 시료를 찾아내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 결과, 개들은 총 720회 선택에서 675차례나 스트레스 시료를 찾아냈다. 이는 우연히 선택할 수 있는 확률을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제시됐다.

이번 실험에 참여한 개들은 처음 시료를 제시했을 때는 94.44%의 정확도로 스트레스 시료를 찾아냈다. 개마다 약간의 편차를 보였는데 낮게는 90%, 높게는 96.88%의 정확도를 보였다.

게티이미지뱅크
 
연구진은 스트레스에 반응해 인체가 생성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변화와 연관된 냄새를 개가 감지할 수 있다고 결론짓고,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나 불안 증세 치료 보조견 훈련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 보조견은 현재 주로 청각, 시각적 신호에 반응하도록 훈련을 받고 있다.

이번 실험에 참여한 2년생 코커 스패니얼 ‘트레오’의 보호자 헬렌 파크스는 “이번 연구로 코를 통해 세계를 볼 수 있는 개의 능력에 관해 더 많이 알게 됐다”면서 “트레오가 집안에서 감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됐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는 아주 예민하고 직관적인 동물이며, 제일 잘하는 냄새를 맡는데 있어 엄청난 가치가 있다는 점을 강화해줬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