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칼럼]누가 소비자물가지수를 두려워하랴

여론독자부 2022. 9. 29. 14:2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실업률 증가·지속성 등 규명 못하고
금리 인상해도 실물경제 타격 미미
美 일자리 공석률, 현재는 높지만
코로나 적응해가는 '일시현상'일 뿐
[서울경제]

최근 인플레이션에 관한 세 건의 중요한 보고서가 잇달아 발표됐다. 뉴욕연방준비은행이 내놓은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대단히 고무적이었다. 노동통계청이 발표한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소비자들의 근심을 덜기에 족했다. 그러나 대중의 반응은 소비자물가지수에 집중됐다.

거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지난달 양호한 소비자가격 보고서가 나오자 대다수 사람들이 2021~2022년의 인플레이션 상승이 동화처럼 행복하게 마감될 것으로 기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부정적 소비자물가지수는 그 같은 희망을 산산조각 냈다.

그러나 실망하기에 앞서 보고서가 보여준 것과 보여주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부터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만약 아직도 실업률 증가라는 고통 없이 인플레이션을 받아들일 만한 수준까지 끌어내릴 수 있으리라 믿는다면 소비자물가 보고서는 그 같은 믿음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안타깝게도 고통 없이 물가를 잡을 수는 없다. 그러나 보고서는 고통의 강도와 지속성에 관해 이렇다 할 단서를 제시하지 않았다.

경제 전문가들은 종종 이 같은 이슈를 기저 인플레이션, 혹은 근원물가지수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느냐는 측면에서 논의한 후 근원물가지수를 재는 최상의 척도를 두고 흥미로운 논쟁을 벌인다. 필자는 이들 중 한 명인 조지프 폴리타노의 대체 공식에 매료됐다. 그는 일자리 감소를 전제하지 않는 물가 상승 둔화, 즉 ‘완벽한 디스인플레이션(immaculate disinflaion)’과 ‘의도적 디스인플레이션(intentional disinflation)’을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완벽한 디스인플레이션이란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이른바 물가 교란 요인들이 진정되면서 자동적으로 물가 상승이 둔화되는 것을 뜻한다. 반면 의도적 인플레이션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올려 물가 상승률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의도적 디스인플레이션은 일자리 손실을 불러온다. 연준의 금리 인상 목적은 전체적인 지출 축소인데 이는 거의 필연적으로 고용 축소로 이어진다.

완벽한 디스인플레이션은 신화가 아니라 최근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전반적인 월 단위의 소비자가격 상승세는 유가가 급등세에서 하락세로 돌아선 덕에 올여름 급속히 둔화됐다. 그러나 완벽한 디스인플레이션만으로는 뛰는 물가를 잡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이 분명히 드러난다. 근원 인플레이션은 어떤 잣대를 들이대건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아니라 내려올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새로 드러난 이 같은 사실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준 듯 보이지만 사실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 올해 금리가 크게 올랐으나 실물경제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실업률이 아직도 역대 최저 수준에 근접해 있고 일자리 수치는 경제 전반, 특히 노동시장이 여전히 뜨겁게 달궈져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기가 상당한 수준으로 냉각되지 않았다고 해서 최근에 제시된 수치들이 디스인플레이션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러울지 일러주지 않는다는 얘기가 아니다. 낙관적인 시나리오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터이지만 역사적 기준으로 볼 때 여전히 낮은 수준인 4%포인트 정도에 그칠 것이다. 반면 실업률이 4%포인트 떨어지면 인플레이션을 2~3%로 끌어내리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비관주의자들은 현재의 높은 일자리 공석률로 보아 물가 통제가 과거에 비해 필연적으로 더 높은 고실업 사태를 불러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들은 양호한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소식을 간단히 치워버린다. 그리고는 실업률이 아마도 6% 위로 올라가리라고 결론짓는다.

필자는 낙관적 시나리오를 선호하고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아울러 현재의 높은 일자리 공석률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에 적응해가는 경제의 일시적 현상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 가열된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달군다는 사실이 논쟁을 종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나마 희소식이라면 연준이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는 것이다. 연준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목청을 높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료를 전체적으로”를 꼼꼼히 들여다보겠다고 말한다. 이는 물가 상승이 분명하게 둔화될 경우 대응 조치를 완화할 준비가 돼 있음을 의미한다. 필자는 이런 순간이 많은 사람의 생각보다 빨리 올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나 지금은 지켜보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여론독자부 opinion2@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