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덩어리 된 해양쓰레기 '무인청소로봇' 해결사 뜬다

2022. 9. 29. 11: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무인자율 청소로봇을 개발하고 충남 서천 홍원항에서 실증실험을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또 자율주행, GPS를 융합한 위치 추정, 장애물 충돌 방지 알고리즘 등을 설계해 정해진 구역 내에서 수거로봇 스스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율제어기술을 개발해 적용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증 실험
자율-원격조종 로봇청소기 개발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로봇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무인자율 청소로봇을 개발하고 충남 서천 홍원항에서 실증실험을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의 부유성 쓰레기로, 경관을 해칠 뿐 아니라 수중에 침전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지만, 수거율은 40%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특히 조류나 파도에 실려 항·포구에 유입된 해양쓰레기의 경우 방파제, 부잔교, 계류 중인 선박 사이에 쌓이기 때문에 사람이나 대형 수거선박은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동안 해양 부유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 개발이 추진돼 왔지만, 항·포구에 특화된 수거장치 개발은 없었다.

생기원 해양로봇센터 하경남 박사팀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지역주민, 지자체(충청남도)로 구성된 리빙랩을 통해 항·포구의 환경, 쓰레기 밀집지역 및 종류, 수거방법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시스템 설계에 반영했다.

도출된 목표는 파고가 있는 해양 환경에서 1.2m/s의 속도로 4~6시간 운용할 수 있는 무게 250㎏급 수거로봇이었다. 운영 환경에 따라 쓰레기가 밀집된 좁은 구역에서는 사람이 개입해 수거로봇을 원격조종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구역에서는 수거로봇 스스로 GPS 기반의 항법시스템을 활용해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투 트랙 방식이다.

연구팀은 원격조종을 위해 1㎞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제어 가능한 원격 제어기술을 개발했으며, 조종법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무선 컨트롤러를 적용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 자율주행, GPS를 융합한 위치 추정, 장애물 충돌 방지 알고리즘 등을 설계해 정해진 구역 내에서 수거로봇 스스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율제어기술을 개발해 적용했다.

충남 홍원항에서 실시된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로봇 실증 시험 모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특히 외형은 가벼우면서도 강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했고 좁고 복잡한 구역에서 선체가 걸리는 일이 없도록 구성 장비는 모두 내부에 탑재했다. 개발된 로봇은 시험평가에서 무게, 속도, 운용시간, 통신거리 전 항목에서 목표로 한 성능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서천 홍원항에서의 실증시험을 거쳐 충청남도에 이관됐다.

충청남도는 도서지역과 절벽, 동굴과 같은 사각지대의 해양쓰레기 수거 등으로 활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