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준형 롯데정보통신 대표, '메타 라이프 비전' 제시

안경애 2022. 9. 28. 1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롯데정보통신이 27일 열린 '2022 서울 스마트시티 리더스포럼'에 참여했다.

롯데정보통신은 이 행사에서 메타버스, 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소개하는 부스를 열었다.

노 대표는 포럼에서 "웹3.0 시대를 맞아 앞으로의 메타버스는 현실감, 몰입감을 갖추어야 하며, 현실과 가상 세계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어야 진정한 메타 라이프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웹3.0 시대에 메타버스는 피할 수 없어"
"경제활동 이어지는 비즈니스모델 구축 중요"
롯데정보, '서울 스마트시티 리더스포럼' 참가
노준형 롯데정보통신 대표가 27일 열린 '2022 서울 스마트시티 리더스포럼'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롯데정보통신 제공
롯데정보통신이 27일 열린 '2022 서울 스마트시티 리더스포럼'에 참여했다. 행사 참관객들이 메타버스 기술을 체험하고 있다. 롯데정보통신 제공

롯데정보통신이 27일 열린 '2022 서울 스마트시티 리더스포럼'에 참여했다.

롯데정보통신은 이 행사에서 메타버스, 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소개하는 부스를 열었다. 노준형 롯데정보통신 대표는 '웹3.0 시대의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한 메타 라이프 전략'에 대한 강연도 진행했다.

노 대표는 포럼에서 "웹3.0 시대를 맞아 앞으로의 메타버스는 현실감, 몰입감을 갖추어야 하며, 현실과 가상 세계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어야 진정한 메타 라이프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해서는 유저가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콘텐츠인 UGC(User Generated Contents), P2E(Play to Earn), P2C(Play to Create)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경제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의 삶을 증진시킬 수 있는 미래형 메타버스 구현을 위해서는 기업의 지속적인 투자, 기업·정부간의 협업도 필수적"이라고도 덧붙였다.

롯데정보통신은 자회사 칼리버스와 함께 차세대 초실감형 메타버스 구현에 힘쓰고 있다. 독자 개발한 이미지 보정기술, 인터랙티브 특허기술, 실사와 가상현실의 결합을 통한 초고화질의 VR(가상현실) 영상 구현 역량 등을 기반으로 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이외에도 NFT(대체불가토큰)와 연계해 실제 거래가 가능한 NFT 마켓플레이스와 가상자산지갑을 오픈하여 시너지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서울 스마트시티 리더스포럼은 2016년부터 서울시가 기업,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매년 개최하는 행사다. 이번에는 '디지털 소외를 넘은 연결시대 메타, 그리고 서울'을 주제로 다양한 글로벌 디지털 리더들의 강연과 토론이 진행됐다. 안경애기자 naturean@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