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 일본서 떠돌던 '조선시대 묘지 2점' 고국으로 돌아왔다
신송희 에디터 2022. 9. 28. 15: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에서 거래되던 조선시대 묘지(墓誌) 2점이 한국인 사업가의 기증으로 국내로 돌아왔습니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 거주하는 사업가 김강원 씨(54)가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와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를 각각 의성김씨 문중과 경주이씨 문중에 기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단 측 "조선시대사-생활문화상 등 보여주는 중요 유물"
이번에 두 묘지가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건 일본 도쿄에서 고미술 거래업체를 운영하는 김강원 씨의 역할이 결정적이었습니다.
그는 지난해 일본 문화재 유통 시장에서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두 묘지가 거래되는 것을 발견해 한국으로 돌려보내고자 유물을 사들였고, 직접 국외소재문화재재단으로 연락해 기증 의사를 밝혔습니다.
재단은 "김 씨는 어떠한 보상이나 조건 없이 기증 의사를 밝히면서 '당연히 한국으로 돌려보내야 하는 유물'로 생각한다며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묘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원래 소장처인 두 문중(의성김씨 문중과 경주이씨 문중)을 방문해 추후 유물 활용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한 결과, 두 문중은 소장자의 기증의사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흔쾌히 유물 공개 및 보호를 결정했습니다.
이번에 돌아온 묘지는 기록문화유산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조선시대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쓰일 예정입니다.
(사진=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일본에서 거래되던 조선시대 묘지(墓誌) 2점이 한국인 사업가의 기증으로 국내로 돌아왔습니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 거주하는 사업가 김강원 씨(54)가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와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를 각각 의성김씨 문중과 경주이씨 문중에 기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묘지들은 이날 오전 11시 경북 안동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열리는 기증·기탁식에서 공개됐습니다.
'묘지(墓誌)'는 죽은 사람의 생애와 성품, 가족관계 등 평생 한 일이나 업적을 적어 함께 묻는 돌이나 도자기 판을 뜻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장례를 치를 때 관과 함께 이런 묘지를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묘지는 고인 기록물로서 개인은 물론 시대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 거주하는 사업가 김강원 씨(54)가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와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를 각각 의성김씨 문중과 경주이씨 문중에 기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묘지들은 이날 오전 11시 경북 안동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열리는 기증·기탁식에서 공개됐습니다.
'묘지(墓誌)'는 죽은 사람의 생애와 성품, 가족관계 등 평생 한 일이나 업적을 적어 함께 묻는 돌이나 도자기 판을 뜻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장례를 치를 때 관과 함께 이런 묘지를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묘지는 고인 기록물로서 개인은 물론 시대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기증받은 두 묘지 중 하나는 김경온(1692∼1734)의 것으로, 조선 영조 2년(1726)에 시행된 과거시험인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해 종 9품 벼슬 관직에 올랐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전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김경온 묘지는 총 5장으로 완전하게 남아있는데, 희고 부드러운 백토로 만든 판 위에 청화 안료를 사용해 묘지문이 정자로 정갈하게 쓰여있습니다.
특히 이 묘지에는 조선시대 궁중 등에서 사용하는 그릇을 만들던 분원(分院)에서 '청화백자묘지'를 구워 만들었다는 사실이 분명히 적혀있어 역사적 유물로서 가치도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김경온 묘지는 총 5장으로 완전하게 남아있는데, 희고 부드러운 백토로 만든 판 위에 청화 안료를 사용해 묘지문이 정자로 정갈하게 쓰여있습니다.
특히 이 묘지에는 조선시대 궁중 등에서 사용하는 그릇을 만들던 분원(分院)에서 '청화백자묘지'를 구워 만들었다는 사실이 분명히 적혀있어 역사적 유물로서 가치도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 다른 묘지의 주인은 조선시대 무관으로 활동한 이성립(1595∼1662)입니다.
묘지 내용에 따르면 이성립의 본관은 경주이지만 그가 묻힌 곳은 평안도 철산 지역으로, 지금의 북한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재단 관계자는 "2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다른 묘지와 비교하면 내용이 간결한 편이나, 17세기 후반 조선 변방 지역에서 활동하던 무관들의 혼인과 장례 등 생활사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성립 묘지는 철사 안료를 써 문양을 내는 철화(鐵畵) 기법과 음각 기법을 활용했고, 특히 묘지 2장이 분리되지 않도록 마주 포개어 묶기 위해 구멍을 뚫려있는 등 제작 방식에서 희귀성과 특수성을 보여 가치가 높습니다.
묘지 내용에 따르면 이성립의 본관은 경주이지만 그가 묻힌 곳은 평안도 철산 지역으로, 지금의 북한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재단 관계자는 "2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다른 묘지와 비교하면 내용이 간결한 편이나, 17세기 후반 조선 변방 지역에서 활동하던 무관들의 혼인과 장례 등 생활사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성립 묘지는 철사 안료를 써 문양을 내는 철화(鐵畵) 기법과 음각 기법을 활용했고, 특히 묘지 2장이 분리되지 않도록 마주 포개어 묶기 위해 구멍을 뚫려있는 등 제작 방식에서 희귀성과 특수성을 보여 가치가 높습니다.
이번에 두 묘지가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건 일본 도쿄에서 고미술 거래업체를 운영하는 김강원 씨의 역할이 결정적이었습니다.
그는 지난해 일본 문화재 유통 시장에서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두 묘지가 거래되는 것을 발견해 한국으로 돌려보내고자 유물을 사들였고, 직접 국외소재문화재재단으로 연락해 기증 의사를 밝혔습니다.
재단은 "김 씨는 어떠한 보상이나 조건 없이 기증 의사를 밝히면서 '당연히 한국으로 돌려보내야 하는 유물'로 생각한다며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묘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원래 소장처인 두 문중(의성김씨 문중과 경주이씨 문중)을 방문해 추후 유물 활용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한 결과, 두 문중은 소장자의 기증의사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흔쾌히 유물 공개 및 보호를 결정했습니다.
이번에 돌아온 묘지는 기록문화유산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조선시대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쓰일 예정입니다.
(사진=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은둔의 재력가와 열애설' 박민영 측 “드라마 촬영으로 사실 확인 늦어져”
- 입 연 돈스파이크 “혐의 인정, 죄 달게 받겠다”…영장심사 후 밝힌 입장
- 인터넷 방송서 한 내밀한 얘기를 나무위키에…“명예훼손 처벌”
- “부끄럽고 훈훈한 풍경”…묵묵히 쓰레기 더미 정리한 어린이
- “아우님, 차 사려면 흰색” 피싱범 잡은 택시기사의 기지
- 전동킥보드 뺑소니에 목뼈 다친 아버지…“목격자 찾습니다”
- 동원령이 신의 뜻?…“전사하면 죄 씻긴다”는 러 주교
- '신림 고시원 건물주 사망' 용의자 체포
- 사산 태아로 만든 '인육캡슐'…2년 만에 국내서 재등장
- 별, 딸 희귀병 투병 고백 “제대로 걷지도 서지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