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에이조스바이오, AI 기반 항암 신약 연구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웅제약이 신약 개발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인 에이조스바이오와 손잡고 AI를 통한 합성치사 항암 신약 연구개발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력에 따라 에이조스바이오는 자체 구축한 AI 플랫폼을 바탕으로 합성치사 항암 신약 후보 물질을 탐색하고, 대웅제약은 후보 물질에 대한 효능 평가와 임상 개발 등 사업화를 진행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웅제약이 신약 개발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인 에이조스바이오와 손잡고 AI를 통한 합성치사 항암 신약 연구개발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에이조스바이오는 AI 기술과 의약화학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플랫폼(iSTAs)을 구축했다. iSTAs 플랫폼 중 하나인 MoliSTA는 특정 타깃에 대한 저분자화합물의 활성 예측을 통해 신규 유효물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발굴할 수 있다.
이번 협력에 따라 에이조스바이오는 자체 구축한 AI 플랫폼을 바탕으로 합성치사 항암 신약 후보 물질을 탐색하고, 대웅제약은 후보 물질에 대한 효능 평가와 임상 개발 등 사업화를 진행한다.
합성치사는 2개 이상의 상호작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기능을 상실했을 경우 세포가 사멸하는 현상을 말한다. 종양억제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난 암세포의 경우 이미 유전자 하나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이므로, 변이된 종양억제유전자와 상호작용하는 다른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할 경우 합성치사로 암세포가 죽게 된다. 그러나 정상 세포는 종양억제유전자의 기능이 정상이므로 합성치사로 상호작용하는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더라도 죽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양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되도록 하는 합성치사 원리의 항암 신약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대웅제약은 에이조스바이오의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최적의 항암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해 연구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한편, 항암 신약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차세대 항암 신약 개발을 가속화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신재민 에이조스바이오 대표는 “대웅제약의 R&D(연구개발) 역량과 당사의 AI 기술을 융합해 효능이 우수한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담대 규제’ 금융위원장 칭찬한 李… “큰 효과 봤다”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인데… 한국선 200만원 싼 ‘역 김치프리미엄’
- [그들은 왜 삼성을 떠났나]② 공정 결함 축소하고, 아이디어 도전 어려워… “경쟁사는 내부 경
- [뉴테크] ‘배터리 폭발’ 뿌리부터 잡는다…韓·中, 차세대 기술 개발 경쟁
- [단독] 압구정 3구역, 재건축 올스톱 위기…시가 2조6000억원 어치 땅 서울시·현대건설·현대산업
- 한국·중국 유독 많은 혈액암…K면역항암제가 간다
- ‘정책 엇박자’ 먹구름 끼는 재건축… 공사비 3.3㎡당 1000만원 넘는데 대출 규제까지
- 찜통 더위, 침실까지 바꿨다… 냉감 침구 수요 증가
- 현대차그룹 계열사, GBC 지연에 기약 없는 ‘셋방살이’
- KTX·SRT 분리 10년 만에 다시 불붙은 ‘통합론’… 국정위도 검토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