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만명 쓰는 네카오 앱.. "포털·웹툰은 네이버, 메신저·금융은 카카오"

박수현 기자 2022. 9. 27. 16: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다는 통계가 나왔다.

카카오의 포털 앱인 '다음'의 MAU는 844만8342명으로 네이버보다 5배 적었다.

특히 카카오웹툰 이용자의 80.9%는 네이버웹툰을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두 앱을 모두 사용하는 이용자(약 474만명)는 네이버지도보다 카카오맵을 조금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사용량을 비교한 그래프. /모바일인덱스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다는 통계가 나왔다.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네이버 또는 카카오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소리다.

앱 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는 네이버의 포털 앱인 ‘네이버’의 8월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4015만1090명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카카오의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의 8월 MAU는 4319만6403명이었다.

메신저 분야에서는 카카오톡이 네이버의 ‘라인’보다 약 26배 많은 MAU를 기록했다. 반면 포털 분야에서는 네이버가 카카오를 압도했다. 카카오의 포털 앱인 ‘다음’의 MAU는 844만8342명으로 네이버보다 5배 적었다.

웹툰·웹소설 분야에서도 네이버 앱을 사용한 사람이 더 많았다. ‘네이버웹툰’(889만7994명)과 ‘네이버시리즈’(280만8175명)의 합산 MAU(중복제거)는 992만3264명이었다. ‘카카오페이지’(464만1126명)와 ‘카카오웹툰’(171만8681명)의 합산 MAU(중복제거)는 553만6211명이었다.

다만 이 분야 양사 앱의 상호 의존도는 높았다. 특히 카카오웹툰 이용자의 80.9%는 네이버웹툰을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금·결제·뱅킹 등 금융 분야는 카카오가 네이버를 앞질렀다. 카카오의 금융 서비스 앱인 ‘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의 MAU는 각각 464만1126명, 1297만8357명으로 총 2226만609명(중복 포함)이었다. 네이버의 금융 서비스 앱인 ‘네이버페이’ MAU는 70만7319명이었다. 특히 카카오페이는 송금·결제 업종 내 단독 사용 비율이 9.81%로 충성 고객 비중이 네이버페이(5.4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도·내비게이션 분야에서는 네이버 앱의 MAU가 카카오 앱의 MAU보다 많았다. ‘네이버지도’의 MAU는 2129만5195명으로 ‘카카오맵’의 950만2624명보다 두 배 이상이었다. 단, 두 앱을 모두 사용하는 이용자(약 474만명)는 네이버지도보다 카카오맵을 조금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