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强달러 걱정 없는 종목 골라라"..디즈니·휴매나·코스트코 등 추천

이정훈 2022. 9. 27. 10: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파운드화 가치가 역사상 최저치까지 추락하면서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에 해외 사업 익스포저가 많은 미국 다국적 기업들은 강(强)달러 역풍을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 기업들은 환차손을 우려해 헤지 전략을 쓰고 있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대부분 매출을 미국 내에서 거둬 들이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달러화 강세 역풍을 덜 맞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NBC 크레이머 "지금은 强달러 역풍 덜 맞는 기업 좋아"
매출액 중 미국 비중 70%이상, '매수' 추천 50%이상 선별
업종 내 대표 방어주..웰스파고·모건스탠리는 高금리 수혜까지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영국 파운드화 가치가 역사상 최저치까지 추락하면서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에 해외 사업 익스포저가 많은 미국 다국적 기업들은 강(强)달러 역풍을 우려하고 있다.

올 들어 달러화 가치가 20%나 치솟으면서 해외에서 벌어들인 매출을 미국 달러화로 환전할 경우 실제 손에 거머쥐는 수익이 크게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주 실적 발표에 나섰던 리차드 갤런티 코스트코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매출을 올린 나라의 통화 가치가 10% 떨어졌다면, 이를 달러화로 전환해 실적을 집계하는 기업에게는 매출이 10% 줄어드는 셈”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 기업들은 환차손을 우려해 헤지 전략을 쓰고 있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대부분 매출을 미국 내에서 거둬 들이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달러화 강세 역풍을 덜 맞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이에 미국 경제매체인 CNBC에서 투자 자문을 하는 골드만삭스 출신 짐 크레이머는 해외에서의 매출 비중이 낮으면서도 월가 애널리스트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기업들을 선별하는 전략을 권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작년 회계연도 전사 매출의 70% 이상이 미국 내에서 발생하고 월가 애널리스트 최소 50% 이상으로부터 투자의견 ‘매수(Buy)’를 받은 기업들을 선별해 총 9개 기업을 제시했다.

CNBC는 “장기적인 기업 펀더멘털을 보고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이 같은 외환 영향만 보고 판단해선 안되지만, 적어도 투자자라면 어떤 기업들이 외환시장 영향에 취약하거나 강한지를 알고 투자해야 한다”며 “특히 10월 중순부터 시작되는 어닝시즌에서는 달러화 역풍 얘기가 더 자주 등장할 것인 만큼 더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NBC가 민간 건강보험회사인 휴매나와 은행인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에너지 자원개발업체인 파이어니어 내추럴리소스, 세계 최대 주류 및 음료업체인 콘스텔레이션 브랜즈, 종합 미디어그룹인 디즈니, 의류소매업체인 TJX 컴퍼니, 바이오업체인 애브비, 대형 회원제 창고형 마트인 코스트코를 이에 해당하는 종목으로 꼽았다.

이들 중에서 파이어니어 내추럴리소스와 휴매나, 웰스파고는 전사 매출 중 미국 내 매출 비중이 100%에 이르는 기업들이며, 컨스텔레이션 브랜즈도 그 비율이 97.3%나 된다. 그 밖의 기업들은 미국 매출 비중이 70~80% 수준이다.

이들 업체는 대부분 전통적으로 해당 업종 내에서 가장 방어적인 주식으로 손꼽히는 종목들이었고, 특히 그 중에서도 금융회사인 웰스파고와 모건스탠리는 최근의 시장금리 상승 국면에서 순이자마진(NIM)이 더 개선되면서 실적이 나아질 수 있는 수혜주라는 측면까지 반영됐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