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겟돈'처럼 닥칠 운명의 날 막아라..첫 '소행성 방어 실험' 성공

이정호 기자 2022. 9. 27. 09: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딥임팩트'서 지구 구할 기술 중요 발판
충돌 결과 분석에 수주일 소요 예상
DART 우주선이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접근하던 도중 자체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한 모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6일(미국시간) DART 우주선을 디모르포스에 성공적으로 충돌시켰다. NASA 제공

#지구의 어느 평범한 날, 갑자기 세계 곳곳에 운석이 미사일처럼 날아들어 건물을 파괴하고 많은 사람들을 다치게 한다. 하지만 이 일은 전초전이었다. 미국 텍사스주, 즉 남한 면적의 7배 크기만 한 초대형 소행성이 18일 뒤 지구와 충돌할 예정이라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계산 결과가 나오자 인류에게는 비상이 걸렸다. NASA는 충돌 뒤 생명체의 완전한 멸종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우여곡절 끝에 긴급 소집된 특공대가 소행성에 폭탄을 직접 매설해 폭발시켜 지구는 가까스로 대재앙을 면한다. 1998년 개봉한 미국 영화 <아마겟돈>의 장면이다.

소행성 충돌은 공상과학영화의 단골 소재이지만, 사실 언제든 진짜 일어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건은 대재앙을 피할 방법을 인류가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에 있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현실 세계의 과학자들이 추진한 계획이 결실을 거뒀다. 소행성에 인간이 만든 우주선을 의도적으로 충돌시켜 비행 궤도를 바꾸려는 사상 첫 시도가 일단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인류는 소행성과의 충돌 위험에서 지구를 구할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날 오후 7시14분(한국시간 27일 오전 8시14분) 지구에서 1100만㎞ 떨어진 우주를 비행 중인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인간이 만든 우주선을 충돌시켰다고 발표했다. 충돌 상황은 NASA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디모르포스는 지름 160m짜리 소행성이다. 지름 780m인 또 다른 소행성 ‘디디모스’ 주변을 도는 위성이기도 하다.

NASA가 공개한 충돌 직전 상황을 보면 DART 우주선은 디모르포스를 향해 정면으로 접근한다. 비교적 빠른 속도로 디모르포스의 크기가 커지고, 충돌 직전에는 소행성 표면의 뾰족뾰족한 돌과 바위가 선명하게 관찰된다. 충돌하고 나서는 DART 우주선이 부서지면서 화면도 같이 꺼진다.

충돌 직후 상황도 각 망원경들에 의해 공개되고 있다. 멀쩡하던 디모르포스에서 밝은 빛이 번쪅하더니 분출물이 확 튀어 오르는 모습이 망원경 렌즈에 포착됐다. DART 우주선이 충돌한 순간의 충격이 담긴 영상이다.

충돌 직후 상황은 DART 우주선 근처를 따르던 초소형 탐사선과 우주망원경, 지구의 지상망원경이 동원돼 촬영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는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OWL-Net)가 26일(미국시간) 포착해 찍은 디모르포스의 모습. DART 우주선과 충돌하는 순간 밝은 빛과 함께 분출물이 튀어 나온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NASA가 ‘이중 소행성 경로 변경실험(DART)’이란 이름을 붙인 이번 계획의 목적은 언젠가 지구로 날아들 소행성을 방어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는 일을 막을 가장 손쉬우면서 실행 가능한 방법은 소행성의 이동 경로, 즉 궤도를 바꾸는 것이다.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을 산산히 부술 만한 폭발력을 만드는 건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소행성의 비행 궤도를 슬쩍 변경해 재앙을 피하는 게 가장 낫다는 얘기다.

그러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번 실험처럼 우주선을 충돌시켜 물리적인 충격을 소행성에 가하는 것이다. 얼굴로 날아드는 축구공을 손으로 툭 쳐 다른 곳으로 날려보내는 일과 비슷하다.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기 위한 물리적인 충격은 굳이 클 필요도 없다. 실제로 디모르포스와 충돌한 DART 우주선의 덩치는 자동판매기 수준인데, 중량은 570㎏이다. 중량 500만t짜리 디모르포스와 초속 6.2㎞로 충돌하면서 운동 에너지를 전달했다.

일단 NASA는 이번 충돌로 인해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를 중심에 두고 도는 궤도의 크기가 1% 작아지고, 공전 시간은 약 10분 단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디모르포스의 궤도와 속도에 얼마나 큰 변화가 생겼는지 확인되면 과학계는 언젠가 현실이 될 소행성 공격에서 지구와 인류를 구할 중요한 기술적인 토대를 얻게 된다. NASA는 이번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데 수주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충돌 성공 뒤 발표한 입장을 통해 “이번 실험은 지구 방어를 위한 전례 없는 성공”이라며 “전 인류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