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명 시정질문..'안일한 방재행정' 집중 질타

노준철 2022. 9. 26. 22: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부산시의회 제309회 임시회가 다음 달 7일까지 열리는데요,

특히 오늘(26일)부터 이틀간 시의원 16명이 시정질문에 나섰습니다.

특히 시의원들은 부산시의 침수 피해 대책, '안일한 방재행정'을 집중 질타했습니다.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8월, 부산에 시간당 최대 130mm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특히 온천천 일대 침수가 심각했고 우장춘로 지하차도에서는 2명이 차에 갇혀 숨졌습니다.

차수벽만 있었다면 인명을 구조할 수도 있었기에 안타까움이 컸습니다.

그로부터 1년 뒤인 2015년 12월, 침수 때 구조 '골든타임'을 벌 수 있는 '차수벽' 설치 지원 조례가 부산에서 제정됐습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였습니다.

그러나 거기까지였습니다.

2014년 폭우 참사 이후 부산에서는 조례가 만들어졌는데도 정작, 예산 지원이 이뤄지지 않아 사실상, 침수 예방 대책이 겉돌고 있습니다.

당시 마찬가지로 피해가 컸던 창원에서 '차수벽' 조례 제정과 예산 편성으로 침수 피해 예방 체계를 갖춘 것과 대조적입니다.

시정질문에 나선 부산시의회 박중묵 의원은 조례가 시행된 2018년부터 5년 연속 침수 방지 '차수벽' 예산을 왜 편성하지 않고 있는지, 부산시에 따져 물었습니다.

[박중묵/부산시의원 : "부산시에서 (차수벽 설치)해야 되는 걸 안 하셨기 때문에 시의회에서 강제로 하도록 한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년 동안 지원 안 하셨고!"]

[김경덕/부산시 시민안전실장 :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거기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하는 건 맞는데, 그동안 소홀히 했다는 점은 인정합니다."]

태풍이 몰고 온 너울성 파도에 침수 피해가 끊이질 않는 해안가 저지대.

안재권 의원도 마린시티와 민락수변공원, 송도 등 부산 해안가 도시계획 문제를 따지고 '안전'에 중점을 둔 침수 피해 대비책을 부산시에 주문했습니다.

[안재권/부산시의원 : "(예방 대책) 공법 선정에 있어서 최우선 기준은 안전입니까? 경관입니까?" (안전으로 봐야 합니다. 일단, 안전이 제일 중요합니다.) 예산이 좀 더 소요되더라도 안전을 중시해서…."]

앞으로 시정질문을 이어가게 될 최도석 의원 역시, 허술한 해양 재난 방재체계를 지적하고 해양도시 부산에 걸맞은 방재 기준 재정비를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촬영기자:김창한/영상편집:이동훈/그래픽:김희나

노준철 기자 ( argos@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