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욕설 사과 없이 "동맹 훼손..진상 밝혀야"

김미나 2022. 9. 26. 21: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미국 방문 중 불거진 '비속어 논란'과 관련해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을 훼손하는 것은 국민을 굉장히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며 최초 언론 보도에 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의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순방외교와 같은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총성 없는 전쟁'에서 허위 보도는 국민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악영향"이라며 "동맹을 희생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일이며 그 피해자는 다름 아닌 국민이라는 점이 (윤 대통령이) 강조하고 싶었던 메시지"라고 부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미국 방문 중 불거진 ‘비속어 논란’과 관련해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을 훼손하는 것은 국민을 굉장히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며 최초 언론 보도에 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치열한 외교 무대의 한편에서 비속어를 내뱉은 데 대해 고개를 숙이지는 않고, 오히려 파문을 덮기 위해 ‘한-미 동맹 위협론’을 들어 공세적 태도를 취한 것이어서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2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이 ‘이번 순방 과정에서 한 발언이 논란이 됐다’고 묻자 “전 세계 2~3개 초강대국을 제외하고는 자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자국 능력만으로 온전히 지킬 수 있는 국가는 없다. 그래서 자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에는 동맹이 필수적”이라며 해당 보도를 ‘동맹을 훼손하는 허위 보도’로 규정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에서 이 ××들이 … 쪽팔려서”라고 발언한 데 대한 비판을 염두에 둔 듯 “그와 관련한 나머지 얘기는 먼저 이 부분에 대한 진상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더 확실히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집무실로 올라갔다.

대통령실의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순방외교와 같은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총성 없는 전쟁’에서 허위 보도는 국민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악영향”이라며 “동맹을 희생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일이며 그 피해자는 다름 아닌 국민이라는 점이 (윤 대통령이) 강조하고 싶었던 메시지”라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의 이날 발언 직후 국민의힘 지도부는 비속어 발언을 처음 보도한 <문화방송>(MBC)과 더불어민주당의 ‘정언 유착’ 의혹을 주장하면서 이 방송사 박성제 사장과 보도 책임자를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밝히는 등 지원사격에 나섰다. 여권이 ‘비속어 논란에 대해 윤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는 여론은 묵살하고, 일제히 문화방송을 표적 삼아 반격을 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윤 대통령의 ‘이 ××’ 발언이 “야당에 대해 얘기한 게 아니다”라고 말해, 사실상 야당을 겨냥한 것이라던 기존 입장을 바꿨다. 특별히 야당에 대해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를 갖추려는 것으로 비친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순방 중이던 지난 22일 윤 대통령의 발언은 “예산 심의권을 장악하고 있는 거대 야당이 국제사회를 향한 최소한의 책임 이행을 거부하면 나라의 면이 서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라고 설명한 바 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온 국민은 대통령의 진솔한 사과를 기대했건만 대국민 사과는 끝내 없었다”며 “진실을 은폐하고 언론을 겁박하는 적반하장식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한겨레>에 “자신에게 따라붙는 실언 논란을 안보 프레임 쪽으로 돌려 한-미 동맹을 부정하는 ‘이적행위’가 있었던 듯한 주장을 하는 것은 국민을 분열시키고 신뢰를 떨어뜨리는 행위”라며 “지지층 결집을 위한 회피 전략으로 보이는 구시대적 접근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