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 인상에 난방·조명 감축..에너지 10% 절감 추진

김장현 2022. 9. 26. 18: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올해 사상 최대 무역적자가 예상되고 있죠.

핵심 원인은 석유, 가스 등 에너지값 급등인데요.

그러자 정부가 에너지 사용량 10% 감축 비상대책에 나섰습니다.

공공기관 난방 온도를 낮추고, 전력 요금은 더 올립니다.

대기업들의 에너지 사용량도 줄이 불필요한 조명도 끄도록 할 방침입니다.

김장현 기자입니다.

[기자]

프랑스 상징 에펠탑이 소등 전 마지막 불빛을 반짝입니다.

파리시가 에너지 절약을 위해 평소보다 1시간 15분 일찍 끈 겁니다.

각국이 에너지 절감 비상대책에 나선 것은 올겨울 에너지 대란 우려 탓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불안과 액화천연가스, LNG 등 원료값 폭등이 겹친 탓인데, 우리 무역수지도 이미 빨간불입니다.

8월까지만 원유·가스·석탄 3대 에너지 수입액은 1,252억달러로 1년 만에 589억 달러 불었는데, 이 기간 무역적자 251억달러의 두 배가 넘습니다.

무역수지 적자에 환율까지 들썩이자 정부가 겨울철 에너지 사용량 10% 절감 대책에 나섰습니다.

우선 정부, 공공기관 실내난방 온도를 낮추고, 불필요한 외부조명 소등을 비롯한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추진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포스코 등 에너지 다소비 30대 기업과는 다음 달 에너지 효율 협약, KEEP30을 체결해 사용량을 감축을 유도할 방침입니다.

전기, 가스 등 에너지 요금도 기존 허용폭보다 더 올리고, 특히 전체 전력 소비의 55%를 차지하는 산업용의 요금을 원가에 맞게 인상할 계획입니다.

<이창양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에너지 절감효과가 큰 대용량 사용자 중심으로 우선적인 요금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정부는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위해 공급선 다변화도 추진할 계획이지만 유럽 등 각국이 앞다퉈 에너지원 확보에 나선 탓에 쉽지 않은 상황이 예상됩니다.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

#에너지절약 #전기요금 #난방온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두번째 유튜브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