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지 '첫단추 잘 꿰어야'..목표는 '우승'[2022 LoL월드챔피언십①]

김민규 2022. 9. 26. 18: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동빈 감독을 비롯해 젠지 선수단이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롤 파크에서 열린 공식 기자회견을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종로=박경호 기자 park5544@sportsseoul.com

LoL e스포츠의 전 세계 최강을 가리는 ‘2022 LoL 월드챔피언십(이하 롤드컵)’이 오는 29일부터 11월 5일 대망의 결승전까지 멕시코와 미국에서 약 한 달간의 대장정에 들어간다. 올해 대회는 멕시코와 미국에서 시티 투어 형식으로 열린다. 예선전 격인 ‘플레이-인 스테이지’(9월 29일~10월 4일)가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아레나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개최하며 ‘그룹스테이지’(10월 7~10일, 13~16일)와 ‘8강전’(10월 20~23일)은 미국 뉴욕의 메디슨 스퀘어 가든의 훌루 시어터에서 진행된다. ‘4강전’은 10월 29일과 30일 이틀 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스테이트팜 아레나에서, 대망의 결승전은 11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체이스 센터에서 개최된다. 대한민국 대표는 젠지와 T1, 담원 기아, DRX 등 네 팀이다. 지난 2020년 담원 기아의 롤드컵 제패를 제외하고 2018·2019·2021 3년간 중국에 우승을 뺏겼던 한국이 다시 우승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e스포츠 종주국’의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을지 전 세계 팬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편집자주>

[스포츠서울 | 김민규기자]“첫 단추부터 잘 꿰어야, 우승 바라본다.”

한국의 1번 시드이자, 올해 롤드컵 우승후보로 손꼽히는 젠지 사령탑은 자만하지 않고 신중한 모습이다. 젠지는 LCK 서머 스플릿 2라운드 전승에 세트득실 +30이란 대기록을 썼고 파죽지세로 서머 왕좌에 올랐다. 글로벌 매체들 역시 젠지를 이번 롤드컵의 강력한 우승후보로 예측했다.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롤 파크에서 롤드컵을 앞두고 열린 공식 기자회견에서 ‘스코어’ 고동빈 감독은 “롤드컵 우승은 팀 자체의 큰 목표고 기대를 많이 받고 있다”며 “16강(그룹스테이지)부터 경기력이 좋아야 우승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 단추를 잘 꿰는 것이 중요하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유럽·중국 등 글로벌 매체에서 1위 미드라이너로 꼽힌 ‘쵸비’ 정지훈도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며 말을 아꼈다. ‘우승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도취되는 것이 자칫 방심하게 만드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쵸비’는 “롤드컵에서 잘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방심하게 만드는 요소인 것 같아서 그냥 최선을 다하면 될 것 같다”며 “내가 그동안 해온 것에 대해 좋은 평가를 받아 좋다. 내 실력이 1위라는 것을 뒷받침할만한 근거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해야 할 것 같다”고 각오를 밝혔다. 이어 “스스로 성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번 롤드컵에서 최대한 빨리 성장해 좋은 결과를 얻고 싶다”고 덧붙였다.

젠지의 ‘스코어’ 고동빈 감독.  종로=박경호 기자 park5544@sportsseoul.com

‘룰러’ 박재혁은 지난 2017년 삼성 갤럭시 당시 막내로 롤드컵에 출전해 우승을 차지했다. 5년이 지난 올해는 젠지의 캡틴으로 다시 한 번 우승사냥에 나선다. 박재혁은 “확실히 그때(2017년)랑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도 많이 바뀌었다”며 “당시 형들에게 어떻게 해야 잘할 수 있는지 많이 배웠고, 이제는 팀에서 맏형이고 주장으로서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뿐이다”고 다짐했다.

롤드컵은 무엇보다 국가대항전 성격이 강하다. 그만큼 경계되는 지역과 팀이 있는 것은 당연지사. 고 감독은 “LCK 팀들이 경계가 되지만 중국 LPL리그 자체가 개개인 특성도 있고 고점이 높은 팀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LPL 팀 중에서도 징동 게이밍이 가장 경계되는 것 같다”고 털어놨다.

우승을 바라보는 젠지의 강점은 무엇일까. 고 감독은 “젠지의 강점은 팀원 모두가 고점이 높은 선수들이다. 평균적인 실력 자체가 장점이다”고 강조하면서 “단점은 없다”고 단언했다.

끝으로 젠지 선수단은 한목소리로 “한국 1번 시드로 나가는 만큼 반드시 좋은 성적을 거두고 돌아올 것”이라며 우승을 향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kmg@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