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폭등에 CDS 프리미엄 이틀새 25% 껑충..외화 조달 '비상'
외국계 은행과 거래한도 소진
국내銀, 달러 조달 어려움 커져
'대외 위험도' 평가 잣대인
외평채 가산금리까지 상승세
올들어 외환보유액도 줄어
원·달러 환율이 1430원을 넘어선 가운데 외화자금 조달 여건마저 악화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발행하는 외국환평형기금 채권(달러 표시 채권)의 부도 위험이 높게 평가되고 가산금리도 오르는 추세다. 일부 국내 은행은 외국계 은행으로부터 할당받은 달러 거래 한도가 소진되면서 추가 외화 조달에 애로를 겪고 있다. 아직 위기 상황은 아니란 시각이 많지만, 환율 급등이 계속되면 외화자금시장마저 흔들리면서 환헤지(환위험 회피)가 필요한 수출업체, 자금운용사, 증권사, 보험사 등이 줄줄이 유동성 문제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틀 새 25% 뛴 CDS 프리미엄
2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 23일 50bp(1bp=0.01%포인트)를 기록했다. CDS 프리미엄은 7월 6일 56bp로 연중 최고점을 찍은 뒤 하락해 9일엔 31bp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20~21일 미국 중앙은행(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반등했고, Fed가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한 직후인 22일엔 전일 대비 5bp 오른 45bp를 기록했다. 23일에도 추가로 5bp가 더 올랐다. 이틀 새 CDS 프리미엄이 40bp에서 50bp로 25% 급등한 것이다.
CDS는 채권이 부도날 경우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원금을 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한국 정부의 외평채 부도 우려가 높을수록 보험료 성격인 CDS 프리미엄이 올라간다.
외평채 가산금리도 올 들어 상승세다. 5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는 올초 32bp에서 지속적으로 올라 8월 31일 43bp까지 치솟았고 이달 들어서도 지난 23일 42bp에 거래됐다. 해외시장에서 외평채를 발행할 때 미 국채 대비 할증금리가 올 들어 10bp 오른 것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8월 언론 브리핑에서 CDS 프리미엄과 외평채 가산금리를 거론하며 “대외 위험도를 평가할 때 환율보다 중요한 척도인 두 지표가 아직 매우 양호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의 고강도 긴축이 지속되면서 두 지표도 악화하는 추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CDS 프리미엄이 650bp까지 치솟았던 점을 감안하면 아직 양호한 수준이지만 환율이 하루에 20원 넘게 치솟는 상황이 반복되면 대외 위험도도 빠르게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한국이 고환율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외환보유액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외환시장에서 눈여겨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지난달 기준 4364억3000만달러로, 올 들어 266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은행 외화 조달도 어려워져
국내 금융시장에 달러를 공급해야 할 은행이 외화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도 늘고 있다. 국내 은행들은 외국계 은행과 외환스와프 거래를 통해 원화를 담보로 달러를 조달한다. 이렇게 빌려온 달러로 국내 기업에 외화 대출을 해주고, 조선·중공업체 같은 수출기업 등의 환헤지를 위한 선물환 매도 수요에도 대응한다. 그런데 최근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화 평가액 기준으로 국내 은행이 외국계 은행에 갚아야 할 돈이 늘었고, 그 결과 국내 은행의 신용 한도가 꽉 차는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최근 국내 외화자금시장에서 1년 만기 외환스와프 포인트는 -22원가량으로 코로나19 위기 당시인 2020년 3월(최저 -27원)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스와프 포인트가 마이너스라는 건 달러를 구하려는 수요가 많아 달러 프리미엄이 많이 붙었다는 뜻이다.
A은행 관계자는 “스와프 거래를 하고 싶어도 한도가 다 찬 외국계 은행 쪽에서 호가가 맞지 않아 거래 성사가 거의 안 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환율 급등이 계속되면 외국계 은행들이 신용 리스크를 줄이고 유동성 비율을 맞추기 위해 달러 회수에 들어갈 수 있다”며 “시중에 달러 유동성이 있는데도 조달은 안 되는 ‘기술적 유동성 위기’가 일어나 다른 업권까지 전이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담보 부족도 문제다. 달러를 조달하는 대신 원화채권을 담보로 준 은행들은 원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담보를 추가로 맡겨야 할 처지가 됐다. 담보 보강을 위해 원화채가 빠져나가면서 은행의 유동성 비율(LCR)까지 타격을 받고 있다. 최근 주요 시중은행들은 LCR 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B은행 관계자는 “환율이 달러당 1400원을 넘어가면서 신규 외환파생 거래는 최소화하고 있다”며 “일부 은행은 운용사 증권사 등에 내보낸 외화자금도 거둬들이고 있다”고 전했다.
■ CDS 프리미엄
채권 부도 때 원금을 건질 수 있는 파생상품에 가입하기 위한 수수료. 국가 부도 위험이 커질수록 외평채 CDS 프리미엄도 올라간다.
임도원/빈난새 기자 van7691@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 싸게 팔면 동네 창피, 신상 공개하자"…사나워진 집주인들
- "내연녀가 남편 생명보험금 13억 수령"…소송 건 아내 결국
- "휘발유차 타다가 바꿨어요"…잘나가는 이 차 인기 비결은
- 국내주식도 '소수점 거래' 가능…NH·KB 등 5개사 출격
- "'바이든' '날리면' 둘 다 아니다"…100번 들었다는 與 의원
- 하하 "'고딩엄빠2' 10대 혼전임신 조장·미화 프로그램 아냐"
- [종합] 김지민 어머니, 김준호 전화받자마자 뚝…"결혼 반대해도 설득할 자신있어" ('미우새')
- ‘손담비 손절설’ 소이, 의미심장 문구…"행동에 대한 책임은 우리"[TEN★]
- '치과 의사♥' 전혜빈, 출산 코 앞인데…역대급 만삭 사진 공개 [TEN★]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