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2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

2022. 9. 26. 13: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금번 실태조사를 통해 분석된 주요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22년 상반기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21년 하반기 실태조사 대비 시가총액, 거래금액 등이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ㅇ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36%(139개)는 시가총액 1억원 이하의 소규모로 급격한 가격변동*, 유동성 부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향후에도 반기별로 실태조사를 지속 실시하여 국내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해나가겠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


 


 실태조사 개요


 

□ 금융정보분석원(원장 박정훈)은 국내 가상자산시장 현황 파악을 위해 신고된 35개 사업자에 대한 ‘22년 상반기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개요 >


 


 


 


[1] 조사대상 : 35개 가상자산사업자 (26개 거래업자, 9개 기타업자)


 


[2] 조사방법 : 사업자가 작성·제출한 값을 기초로 집계


 


[3] 대상기간 및 기준시점 : ’22.1.1~’22.6.30. / ’22.6.30


 

□ 금번 실태조사를 통해 분석된 주요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22년 상반기


‘21년 하반기


증감(율)


1. 가상자산 거래업자


 일평균 거래규모


5.3조원


11.3조원


△6조원(△53%)


 총영업이익


0.63조원


1.64조원


△1조원(△62%)


 원화예치금


5.9조원


7.6조원


△1.7조원(△22%)


2. 가상자산 관련


 시가총액


23조원


55.2조원


△32.2조원(△58%)


 가상자산 종목수


1,371개


1,257개


+114개(+9%)


  - 중복상장 제외시


638개


623개


+15개(+2%)


 단독상장 가상자산 종목수


391개


403개


△12개(△3%)


 가격변동성((최고가-최저가)/최고가)


73%


65%


+8%p


3. 이용자 일반


 등록 계정수


1,310만개


1,525만개


△215만명(△14%)


 거래가능 이용자


690만명


558만명


+132만명(+24%)


 가장 많은 이용 연령대


30대


30대


-


 1백만원 미만 보유(비중)


505만명(73%)


313만명(56%)


+192만명(+17%p)


※ ① 개별 사업자의 회신값은 영업비밀에 해당될 수 있어 공개할 수 없습니다.


   ② 실태조사 결과는 사업자가 제출한 자료를 집계·작성한 수량 정보로 국가승인통계가 아닙니다.


2


 


 22년 상반기 실태조사 주요 결과


 

□ ‘22년 상반기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21년 하반기 실태조사 대비 시가총액, 거래금액 등이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시가총액) 23조원 (21년말 55.2조원 대비 32.2조원, △58%)

   (일평균거래금액) 5.3조원 (21.下 11.3조원 대비 6조원, △53%)

 

ㅇ 우크라이나 사태, 금리상승, 유동성 감소 등에 따른 실물경제 위축과 루나-테라 사태로 인한 가상자산 신뢰 하락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ㅇ 가상자산 사업자(거래업자)의 총영업이익은 6,301억원으로 ‘21년 하반기(1.6조원) 대비 약 62% 감소하였습니다.

 

□ 국내 유통되는 가상자산은 1,371개, 중복 제외시 638개이며, 이중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391개(61%) 조사되었습니다.

 

ㅇ 원화마켓의 글로벌 10대 가상자산 비중(시총)이 늘어난 반면(41→47%), 코인마켓은 단독상장 가상자산 비중(시총)이 높았습니다(84→86%).

 

ㅇ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36%(139개)는 시가총액 1억원 이하의 소규모로 급격한 가격변동*, 유동성 부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국내 가상자산의 가격변동성(MDD)은 평균 73%이며,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76%

 

□ ‘22.6월말 기준,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한 이용자는 690만명입니다.

 

ㅇ 이용자의 66%(455만명)가 가상자산을 50만원 미만 보유하는 등 ‘21년 하반기 대비 보유자산 규모가 축소되었습니다.

 

□ 향후에도 반기별로 실태조사를 지속 실시하여 국내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해나가겠습니다.

 

※ 기타 상세 내용은 붙임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