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유럽당뇨학회서 주요 연구 3건 온라인 발표

한민수 2022. 9. 26. 09: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미약품이 개발중인 삼중 작용 바이오 혁신신약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HM15211)'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바이오 신약 '랩스글루카곤 애널로그(HM15136)' 등의 주요 연구 결과가 유럽당뇨학회(EASD)에서 발표됐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롤론티스의 FDA 승인 획득을 계기로 한미약품 바이오신약에 적용된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랩스커버리 기술이 적용된 HM15211과 HM15136의 이번 임상 연구를 토대로, 빠른 시일 안에 혁신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ASH·희귀질환 바이오신약 관련

한미약품이 개발중인 삼중 작용 바이오 혁신신약 '랩스트리플 아고니스트(HM15211)'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바이오 신약 '랩스글루카곤 애널로그(HM15136)' 등의 주요 연구 결과가 유럽당뇨학회(EASD)에서 발표됐다. 

한미약품은 지난 23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럽당뇨학회에 참가해 HM15211 연구결과 2건과 HM15136 연구결과 1건을 온라인을 통해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신약으로 개발 중인 HM15211은 'GLP-1' 수용체, 글루카곤 수용체 및 'GIP'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한다. 다중 효과를 바탕으로 NASH 환자에서의 지방간과 간 염증, 간 섬유화 등의 복합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간 섬유화를 유도한 모델(TAA mice)에서 HM15211의 항염증 및 항섬유화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또 현존하는 대부분의 간 염증 및 간 섬유화 모델에서 치료 효능이 확인돼, NASH 혁신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HM15211이 특발성 폐섬유증(IPF) 모델에서 폐 기능 및 생존률도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2020년 HM15211을 신속심사(패스트트랙) 개발 의약품으로 지정했다. 한미약품은 생검(biopsy)으로 확인된 NASH 및 간 섬유화 환자를 대상으로 후기 임상 2상을 미국 및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다. HM15211은 FDA와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원발 담즙성 담관염, 원발 경화성 담관염, 특발성 폐섬유증 등 여섯 건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신약 중 가장 많은 희귀의약품 지정 기록이다. 

HM15136은 세계 첫 주 1회 투여 제형의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HM15136이 비만 유도 모델에서 체중 지방간 그리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효과적으로 개선했으며, 만성신장질환 동물에서 요중 알부민 배설과 ACR(알부민 크레아티닌 비율)을 개선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FDA와 EMA는 HM15136을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에 대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2020년 EMA는 인슐린 자가면역증후군 희귀의약품으로, FDA는 소아희귀의약품(RPD)으로 추가 지정하기도 했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롤론티스의 FDA 승인 획득을 계기로 한미약품 바이오신약에 적용된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랩스커버리 기술이 적용된 HM15211과 HM15136의 이번 임상 연구를 토대로, 빠른 시일 안에 혁신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