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D집다] 친환경농업 책임 농민만의 몫인가

2022. 9. 26. 0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엔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 무농약 인증, 유기농 인증 등 친환경 인증 농산물이 대중화돼 소비자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공급과 수요에 따라 결정되는 게 소비자가격인지라 친환경 인증 농산물의 공급이 늘어나면서 가격은 당연히 하락하게 됐다.

물론 친환경 해충 방제도 할 수 있지만 친환경 방식으로 해충을 쫓는 게 얼마나 힘든지 도시 소비자들은 모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01010101801.20220926.001349759.02.jpg


요즘엔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 무농약 인증, 유기농 인증 등 친환경 인증 농산물이 대중화돼 소비자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공급과 수요에 따라 결정되는 게 소비자가격인지라 친환경 인증 농산물의 공급이 늘어나면서 가격은 당연히 하락하게 됐다.

그렇다면 혹시 친환경농업을 하는 농민들의 소득은 높아졌을까?

도시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시장도 커졌다면 친환경농산물이 보다 저렴해지더라도 농민소득은 높아지지 않았을까?

하나 정답은 ‘아니오’다. 친환경농업을 위해 예초작업을 하는 노동력과 안 그래도 비싼 친환경농자재 비용이 전보다 더 비싸졌다. 그런데 쌀 등 대표적인 농산물 가격은 하락했으니 소득이 높아질 수가 없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이유로 물가가 급상승했다는 것은 뉴스에 많이 보도돼 다들 알고 있을 터이다. 요소수 대란으로 사재기도 있었고 물류파업까지 일어나기도 했다. 요즘 출시되는 농업용 트랙터와 콤바인 등은 요소수가 필수라 농민은 다들 가슴을 졸였다. 농업용 면세유가 있지만 면세유 또한 물가상승을 피해갈 수 없었다. 이에 더해 비료를 비롯한 모든 농자재 비용이 엄청나게 올랐다.

그에 비해 친환경농산물 가격은 크게 오르지 않았다. 뉴스에 식탁 물가가 올랐다고 자주 보도되고 있지만 친환경농산물과 일반 농산물의 가격은 사실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친환경농산물은 일반 농산물과 비교하면 수확량도 현저히 적고, 농민들의 노동력도 많이 필요로 하는데 그만큼 보상을 받지 못한다.

땅을 지키고 국민들의 밥상을 지키겠다는 고집스러움으로 바른 먹거리를 키우기 위한 농민들의 노력은 지속되고 있으나, 노력에 대한 가치는 그만큼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농민이 친환경농업을 지속해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지속 가능한 농업과 농촌을 위해…”라는 말로 농민들에게만 사회적·도의적 책임감의 무게를 지우는 것은 너무도 야속하다.

어느날 대형마트의 오가닉(Organic·유기농) 식재료 코너를 지나치다 우연히 소비자들의 대화를 들은 적이 있다. “난 비싸도 유기농 일부러 찾아 먹어. 벌레도 없고 깨끗하고 품질이 좋잖아” 말을 듣는 순간 잠시 생각이 많아졌다. ‘벌레 구멍 없이 깨끗하게 키우려면 얼마나 많은 해충 방제를 해야 할까’라고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도시 소비자들은 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친환경 해충 방제도 할 수 있지만 친환경 방식으로 해충을 쫓는 게 얼마나 힘든지 도시 소비자들은 모른다. 건강과 먹거리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유기농 인증보다 더 좋고, 농약도 뿌리지 않는 ‘오가닉’ 제품이 ‘GAP 인증 농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으니 말이다. 친환경 인증이 무엇이고, 인증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소비자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피땀 흘려 키워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치를 바르게 인정받을 때 고단한 외길 같은 농민의 장인 정신이 비로소 보상받는 기분일 테니 말이다.

이선화 (할매곳간 대표)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