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차기 대표 선거전 돌입..'재창당' 노선투쟁 불붙을 듯

탁지영 기자 2022. 9. 25. 20: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정미·조성주·이동영·정호진·김윤기 5파전 치를 전망
내달 19일 새 지도부 선출.."노동정책 변화" "제3지대로"

정의당이 차기 지도부 선거 국면에 돌입했다. 주요 당권 주자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동으로 몸풀기에 나섰다. 당직 선거는 25일 현재 이정미 전 대표와 조성주 전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비롯해 이동영 전 대변인,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 김윤기 전 부대표 등 5파전으로 치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재창당 노선에 대한 논의가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지난 24일 SNS에 서울 서초 SPC 본사 앞 파리바게뜨 노조 단식 농성장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정의당은 점심 먹을 시간의 권리, 아플 때 쉴 수 있는 권리, 임신 여성의 노동환경을 보장받을 권리, 노동조합이 혐오와 배제로부터 벗어날 권리, 파리바게뜨 노동자의 기본권을 꽃피우는 자리에서 일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 전 부의장도 SNS에 올린 출사표를 통해 “정의당이 가야 할 곳은 민주노동당 귀환도, 정의당 2기도 아니다. 새로운 단계”라며 “정의당을 부수고 한국 정치를 부수자”고 밝혔다.

이들은 26~27일 출마선언을 한 뒤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전국 순회 유세와 TV토론 등 선거운동을 벌인다.

투표는 다음달 14일부터 6일간 진행돼 19일에 새 지도부가 선출된다.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23~28일 결선투표를 한다.

차기 지도부의 과제는 재창당부터 입법 성과, 내홍 수습까지 첩첩산중이다.

새 지도부는 2023년까지 강령, 당명,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한다. 정의당은 재창당 결의안에서 “취약한 지지 기반과 모호한 정체성이 당의 현실이었다”며 “정의당은 거대 양당을 공격하면서 대안의 정치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왜 정의당이 대안인지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반성했다.

노란봉투법 등 이번 정기국회에서 입법 성과를 보여야 지지 기반도, 정체성도 재확립할 수 있다.

내홍 수습도 과제다. 3·9 대선과 6·1 지방선거 참패 이후 존립 위기에 놓인 정의당은 비례대표 의원단 총사퇴 권고 당원 총투표 추진 등으로 파열음을 겪었다.

초대 당 대표였던 천호선 노무현재단 이사, 박창진 전 부대표 등 주요 인사들이 최근 탈당하기도 했다. 천 이사는 22일 SNS를 통해 “다른 방법, 다른 전략은 배제와 축출의 대상이 됐다”고 탈당 이유를 밝혔다.

당직 선거에선 노선 투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 주류이자 한 차례 지도부를 지낸 이 전 대표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다. 조 전 부의장은 기존 노동정책의 노선 변화를 주장했다. 이동영 전 대변인은 당을 제3지대로 확장하자고 주장할 것으로 전해졌다.

탁지영 기자 g0g0@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