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소멸된 통신사 마일리지 701억원..멤버십 포인트도 개선해야"

김나인 2022. 9. 25. 1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5년간 소비자가 사용하지 못하고 소멸된 통신3사 마일리지가 총 701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2G·3G의 주요 고객의 상당수가 고령층인 것을 감안할 때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잔여 마일리지 171억원이 소멸하기 전에 통신사가 소비자 환급을 추진해야 한다"며 "소비자는 약정기간 동안 계약해지가 어렵고 멤버십 포인트는 이 기간 통신요금의 대가로 지급된 것이기 때문에 통신사의 혜택이 아닌 소비자의 재산권으로 봐야 한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신3사 마일리지 소멸 현황. 박완주 의원실 제공

지난 5년간 소비자가 사용하지 못하고 소멸된 통신3사 마일리지가 총 701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여 마일리지도 141억원으로 확인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완주 무소속 의원은 통신3사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소멸된 통신사 마일리지는 SK텔레콤 351억원, KT 117억원, LG유플러스는 233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3사는 소비자의 월별 납부요금에 따라 일정 포인트를 적립해주고 소비자가 통신요금 납부, 단말기 수리 그리고 일부 콘텐츠 이용료를 직접 결제할 수 있는 마일리지 제도를 운영해왔다. 그러나 소비자가 사용하지 못한 잔여 마일리지에 대하여 재산권을 인정하고 소비자에게 환급해줘야 한다는 지적이 국회와 시민단체에서 수년간 제기돼왔다.

이에 통신 3사는 마일리지 제도를 2G·3G 종량요금제까지만 운영하고 이후 출시된 LTE·5G 요금제에서는 약정기관과 통신요금, 연체 여부 등에 따라 1년 유효기간으로 지급되는 멤버십 제도를 적용했다.

그러나 멤버십 포인트는 마일리지와 달리 고객의 재산권이 인정되지 못하고, 사용처도 자사 쇼핑몰 또는 통신사와 제휴계약을 맺은 일부 가맹점으로 제한되고 있다. 사용횟수마저도 1일 혹은 월간으로 한정돼 소비자의 권한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약정기간 통신요금의 대가로 지급·운영되는 멤버십 제도가 정작 소비자의 권한을 침해하고 있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해 통신 3사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신사 측은 "멤버십 제도는 통신사가 고객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혜택이자 마케팅 수단"이라는 주장이다. 박 의원 측은 통신 3사에게 멤버십 현황 자료를 요구했지만, 영업기밀을 이유로 제출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한국소비자원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멤버십 포인트 실사용률은 40.7%에 그치고 60% 가까이 사용하지 못하고 소멸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통신사 멤버십 주요 제휴처가 영화관, 놀이공원, 음식점 면세점인 것을 고려하면, 지난 코로나 팬데믹 동안 소비자는 동일한 요금을 내고도 1년의 유효기간을 지닌 멤버십 포인트는 거의 사용하지 못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 의원은 "2G·3G의 주요 고객의 상당수가 고령층인 것을 감안할 때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잔여 마일리지 171억원이 소멸하기 전에 통신사가 소비자 환급을 추진해야 한다"며 "소비자는 약정기간 동안 계약해지가 어렵고 멤버십 포인트는 이 기간 통신요금의 대가로 지급된 것이기 때문에 통신사의 혜택이 아닌 소비자의 재산권으로 봐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멤버십 포인트 사용처에 요금결제를 추가하고 가맹점 할인 횟수 제한도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