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출신 소설가 '만다라' 김성동 별세..향년 75세

최일 기자 2022. 9. 25. 14: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작품들을 발표한 충남 보령 출신 소설가 김성동 작가가 암 투병 중 25일 별세했다.

'피어린 한국 현대사를 꿰뚫는 김성동의 아픈 집안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은 이 소설집은 한국전쟁 70주년을 기념한 특별판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공간,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굴곡진 세월이 오롯이 담긴 11편의 작품이 수록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전 산내 민간인 학살 유족으로 한국 현대사 아픔 작품에 담아
25일 타계한 소설가 김성동의 생전 모습. (솔출판사 제공)

(대전=뉴스1) 최일 기자 =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작품들을 발표한 충남 보령 출신 소설가 김성동 작가가 암 투병 중 25일 별세했다. 향년 75세.

1947년 보령에서 출생한 김성동은 성장기를 줄곧 전쟁과 이데올로기가 남긴 깊은 상처 속에서 방황하다가 서라벌고등학교를 중퇴한 후 1965년 입산(入山)을 결행했다.

1975년 ‘주간종교’의 종교소설 현상 모집에 ‘목탁조’가, 1979년 ‘한국문학’ 신인상에 ‘만다라’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데뷔한 그는 창작집 ‘피안의 새’, ‘오막살이 집 한 채’, ‘붉은 단추’, ‘민들레꽃반지’, 장편소설 ‘풍적(風笛)’, ‘집’, ‘길’, ‘꿈’, ‘국수(國手)’, 산문집 ‘김성동 천자문’, ‘한국 정치 아리랑’, ‘꽃다발도 무덤도 없는 혁명가들’, ‘염불처럼 서러워서’ 등을 출간했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좌익 독립운동가인 부친 김봉한을 잃은 고인은 산내 민간인 학살 희생자의 유족으로 2020년 소설집 ‘눈물의 골짜기’를 펴냈다. ‘피어린 한국 현대사를 꿰뚫는 김성동의 아픈 집안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은 이 소설집은 한국전쟁 70주년을 기념한 특별판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공간,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굴곡진 세월이 오롯이 담긴 11편의 작품이 수록됐다.

신동엽문학상·이태준문학상·요산문학상 등을 수상한 고인의 빈소는 건국대 충주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27일 오전 9시다. 유족으론 아들 재현씨와 딸 서현씨가 있다.

choi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