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시총 1년새 620조 증발

이윤희 2022. 9. 25. 10: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강도 높은 통화 긴축 움직임에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이 1년여 만에 620조원이 증발했다.

이로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시가총액은 지수 최고치 당시와 비교해 620조996억원 줄었다.

시가총액 상위 1위 삼성전자가 작년 7월 6일 8만1200원에서 5만4500원으로 32.9%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159조3932억원이나 사라졌다.

SK하이닉스도 주가가 12만5000원에서 8만3500원으로 33.2% 조정받아 시가총액이 30조원 축소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장주 삼성전자 159조 손실
성장주 카카오·네이버 77조 ↓
연합뉴스

미국의 강도 높은 통화 긴축 움직임에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이 1년여 만에 620조원이 증발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지난 23일 각각 2290.00, 729.36으로 마쳤다. 종가 기준 코스피지수는 작년 7월 6일 기록한 사상 최고치 3305.21보다 1015.21포인트(30.7%) 떨어졌다. 이에 따라 시가총액은 2314조4174억원에서 현재 1804조5000억원으로 509조9174억원 감소했다.

코스닥지수는 작년 8월 9일 1060.00으로 종가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3일 종가는 729.36으로 최고치 대비 330.64포인트(31.2%) 떨어졌다. 시가총액도 443조860억원에서 332조9038억원으로 110조1822억원 줄었다.

이로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시가총액은 지수 최고치 당시와 비교해 620조996억원 줄었다.

시가총액 상위 1위 삼성전자가 작년 7월 6일 8만1200원에서 5만4500원으로 32.9%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159조3932억원이나 사라졌다. SK하이닉스도 주가가 12만5000원에서 8만3500원으로 33.2% 조정받아 시가총액이 30조원 축소됐다.

금리 인상에 성장주 카카오와 네이버 시가총액은 77조원 넘게 사라졌다. 카카오는 주가가 15만7500원에서 6만1000원으로 61.3%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69조9189억원에서 27조1640억원으로 42조7549억원이나 사라졌다. 네이버 역시 주가가 48.6% 조정받아 시가총액이 32조7336억원 증발했다.

큰 폭의 주가 조정은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긴축에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들이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은 올해 유가증권시장(12조3216억원)과 코스닥시장(4조4331억원)에서 모두 16조7547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달까지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했다.미 기준금리가 연 3.00∼3.25%로 상승해 2008년 1월 이후 14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됐고,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2.50%)보다 0.75%포인트(상단기준)나 높아져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가 크다.키움증권은 한국은행도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를 막기 위해 다음 달에 '빅 스텝'(한 번에 0.50%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해 기준금리를 연 3.00%로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윤희기자 stels@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