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 대' 규모 무선 청소기 시장 잡아라..삼성·LG·다이슨 삼국지

장병철 기자 2022. 9. 25. 10: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0만 대 규모로 커진 국내 무선청소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3강 구도'를 형성 중인 삼성전자와 LG전자, 다이슨은 각각 청정시스템과 스팀물걸레, 초강력 모터 등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5일 가전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제트'와 국내 최초 스틱형 자동먼지배출 시스템 '청정스테이션' 등을 선보이며 차별점 부각에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년형 비스포크 제트_산토리니베이지 : 삼성전자의 2022년형 비스포크 제트 모습. 삼성전자 제공
다이슨 : 다이슨의 무선청소기 신제품 ‘다이슨 Gen5디텍트™’ 제품 모습. 다이슨 제공
LG : LG 코드제로 A9S 신제품 모습. LG전자 제공



삼성 ‘청정스테이션’·LG ‘스팀 물걸레’·다이슨 ‘초강력 흡입’ 내세워

200만 대 규모로 커진 국내 무선청소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3강 구도’를 형성 중인 삼성전자와 LG전자, 다이슨은 각각 청정시스템과 스팀물걸레, 초강력 모터 등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5일 가전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제트’와 국내 최초 스틱형 자동먼지배출 시스템 ‘청정스테이션’ 등을 선보이며 차별점 부각에 나섰다. 삼성이 올해 2월 출시한 2022년형 비스포크 제트는 220와트(W) 흡입력과 동급 최경량 무게(2.44㎏)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비스포크 제트의 흡입 모터 최고 속도는 13만5000rpm으로 전작의 최고 속도(11만rpm) 대비 대폭 개선됐다.

삼성은 제트가 큰 인기를 끌게 된 배경에는 ‘청정스테이션’의 등장도 큰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청정스테이션은 삼성의 독자 기술인 ‘에어펄스’ 기술을 적용, 무선청소기 ‘제트’의 먼지 통을 간편하게 비울 수 있는 먼지 배출 장치다. 삼성 관계자는 "지난 2020년 청정스테이션의 등장 이후, 자동 먼지 배출은 무선 청소기 시장에서 소비자가 청소기를 구매할 때 따져보는 주요 구매 결정 요인이 됐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올해 6월 스팀 물걸레 청소로 바닥의 찌든 때까지 제거할 수 있는 ‘LG 코드제로 A9S’ 신제품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신제품은 국내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중 유일하게 먼지 흡입과 스팀 물걸레 청소가 모두 가능한 ‘안심 스팀 물걸레 흡입구’를 갖췄다. 신제품의 흡입력은 최대 220W이며 새로운 ‘와이드 LED 흡입구’를 적용해 흡입구 폭도 기존 대비 5㎝ 넓힌 30㎝로 늘렸다.

LG전자는 최근 무선 청소기 충전과 액세서리 보관, 먼지 통 비움 기능 등을 갖춘 신개념 거치대 ‘올인원타워’도 새롭게 업그레이드했다. 회사 관계자는 "먼지 비움 기능 작동 시간을 단축했고 자외선을 통한 먼지 봉투 속 세균 증식 억제 기능도 담았다"고 말했다.

이에 맞서 다이슨은 지난 21일 5세대 하이퍼디미엄 모터를 탑재해 262W의 강력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무선 청소기 신제품 ‘다이슨 Gen5 디텍트™(Dyson Gen5 Detect™)’를 출시했다.

신제품은 제품 전체에 ‘헤파(HEPA) 필터레이션’ 기술을 적용, 0.1마이크론(1000만 분의 1m)만큼 작은 입자를 99.99% 포착하도록 설계했다. 또 새로운 ‘플러피 옵틱™(Fluffy Optic™) 클리너 헤드’가 적용돼 기존 ‘다이슨 레이저 슬림 플러피™ 클리너 헤드’ 대비 한층 밝은 빛으로 보이지 않던 먼지를 더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고 회사는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18년 100만 대를 돌파한 국내 무선청소기 시장은 2019년 140만 대, 2020년 180만 대로 커진 데 이어 최근에는 200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장병철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