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S&P500 지수 1.66% 급락 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지난 21일 기준금리를 0.75%포인트(p) 인상한 여파로 뉴욕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출발했다.
23일 오전 9시 42분 현재(미 동부 시각)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1.66%(62.37포인트) 하락한 3662.37로 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지난 21일 기준금리를 0.75%포인트(p) 인상한 여파로 뉴욕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출발했다.
23일 오전 9시 42분 현재(미 동부 시각)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1.66%(62.37포인트) 하락한 3662.37로 출발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하락 폭이 커 1.90% 내린 1만856.89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2만9686.74로 전일 종가 대비 1.29%(388.39포인트) 하락했다.
유럽 증시도 하락세를 보였다. 영국 FTSE 지수는 150.42포인트(2.10%) 하락한 7009.10을, 독일 DAX 지수는 218.92포인트(1.75%) 내린 1만2312.71을 기록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 초반 한때 연 3.8%까지 치솟았지만, 이후 하락해 전날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양상이다.
연준이 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서 미국 기준금리는 3.00~3.25%로 올랐다. 게다가 인플레이션 우려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연준이 예상했던 것보다 금리를 더 올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연준 위원들은 기준금리가 올해 말 4.4%, 내년 4.6%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연준의) 수정된 전망이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며 “유럽의 경제 활동도 급격히 감소하고, 인플레이션, 에너지 위기, 러시아 핵 전쟁 위협이 시장을 방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한전공대는 놔두고 왜 임금 깎나”… 한전 직원 반발
- 5년 뒤 시속 400㎞ 고속철 시대… 소음·진동 잡는 게 과제
- [르포] “풍선효과만 만들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에 반발 커져
- “서울에 이렇게 예쁜 곳이” 외국인·시민들 감탄한 청와대 야간개장 첫날
- '강세' 韓 점유율마저 추락한다… 저물어가는 'MS 왕국'
- "강남서 전세사기 당했는데…" 이 피해자, 왜 구제 못받나
- [인터뷰] 모더나 설립자 “이재용 바이오 육성 전략 존경해...한국에 생산기지 검토 중”
- 국제공항평가 1위→4위… 인천공항 '톱3' 못오르는 이유
- 자동화에 소외된 노년층, 실버영화관 몰린다
- "주문 실수하면 1초 만에 85% 날릴 수도" 증권가 대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