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ueen and her final media journey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After the death of Queen Elizabeth, the New York Times wrote that her reign "was marked by unprecedented visibility, for better or worse." In her lifetime, the queen also said, "I have to be seen to be believed."
기꺼이 참배 줄(이른바 the Queue)에 함께한 이들은 여왕의 헌신을 기리며 1인 미디어로 남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ANG HYE-RANThe author is head of the international news team of the JoongAng Ilbo. A magnificent and spectacular epic drama has ended. The last stage was 1,000-year-old Westminster Abbey. Queen Elizabeth II began her final “media journey” as everything symbolizing monarchy, the Commonwealth, religion, nobility, the crown, the successor and followers, gathered.
It was the first time for a British monarch to have their funeral broadcast live on television, for more than 10 hours in some cases. 4.1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watched the funeral — the highest viewer rating ever, surpassing the opening ceremony of the Atlanta Olympics watched by 3.6 billion viewers. Some watched it on TV, but many watched it on computer monitors, large displays and cell phone screens. All of these were invented through the media revolution that continued during the reign of the Queen (1952-2022).
The Queen was media-friendly from the start. Her coronation in 1953 was broadcast on televisions that were distributed in British households. While Prime Minister Winston Churchill was worried that it could be seen as a “play performance,” the broadcast was successful. The monarch who sat on top of the balcony for a long time came into the living rooms of the subjects.
While the Commonwealth was collapsing, the Queen traveled around the world, reviving national pride. Tragedies of the royal family were also perfect topics for tabloids and TV shows craving spectacles. With the American media industry-led alchemy, the royal family’s weddings, parenting, fashion and discord have turned into the subject of “royal watching.”
After the death of Queen Elizabeth, the New York Times wrote that her reign “was marked by unprecedented visibility, for better or worse.” In her lifetime, the queen also said, “I have to be seen to be believed.”
The public’s desire for voyeurism and the private lives of the royal family members often created discord. The media dug into the gap and revealed the “human face” of the royal family. The exposure began with Princess Diana’s BBC interview in 1995 and climaxed with Prince Harry and Meghan Markle’s appearance on the Oprah Winfrey show last year. In the interview, they said that the royal family was not a family but a firm.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he monarchy, everyone knows that the modern royal family is a celebrity business community running on public envy, fantasy, jealousy and compassion. The irony is that throughout her 70-year reign, the queen has rarely given an interview while she was at the center of the spotlight.
When she appeared on the London Olympics opening ceremony with James Bond and had a tea with Paddington Bear for the Platinum Jubilee, she was not an individual person but a public official faithful to her duty.
Until her burial, she was faithful to her duty. The people who stood at the Queue left one-man media cherishing her dedication. Even on the media, she reigned, not ruled.”
미디어 시대의 여왕강혜란 국제팀장
장엄하고도 화려한 서사극 한편이 끝났다. 마지막 무대는 1000년 역사의 웨스트민스터 사원. 영연방, 종교, 고귀함, 왕관, 후계자, 추종자 등 군주의 통치를 상징하는 게 한데 집결한 가운데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마지막 ‘미디어 여정’을 시작했다. 방송사에 따라 십수 시간 이어진 장례식 생중계는 영국 국왕으로서 처음이었다. 이를 지켜본 세계인이 41억 명을 헤아린다고 한다. 애틀랜타 올림픽 개막식(36억 명)을 뛰어넘는 역대 최다 시청 기록이다. 일부는 TV로 봤지만, 많은 이들이 컴퓨터 모니터로, 대형전광판으로, 손안의 휴대전화로 봤다. 모두가 여왕의 재위 기간(1952~2022) 거듭된 미디어 혁명을 통해 나온 것들이다.
여왕은 등장부터 미디어 친화적이었다. 1953년 그의 대관식은 영국 가정에 막 보급되던 TV 수상기로 전달됐다. 윈스턴 처칠 당시 총리가 “연극 공연처럼 보일 수 있다”고 염려했음에도 중계는 성공적이었다. 오랫동안 발코니 위에 있던 군주가 신민의 안방으로 들어왔다. 영연방은 붕괴하고 있었지만 세계를 누비는 여왕의 발길은 국민적 긍지를 되살렸다. 왕실의 비극조차 스펙터클을 갈망하는 타블로이드와 TV쇼에 안성맞춤 소재였다. 미국이 주도하는 미디어 산업의 연금술 속에 결혼식, 양육, 패션, 불화 등 모든 게 ‘로열 워칭’의 대상으로 탈바꿈했다.
“엘리자베스의 통치는 좋든 나쁘든 전례 없는 가시성으로 특징지어졌다”고 그의 사후 뉴욕타임스는 썼다. 여왕도 생전에 “믿기 위해서는 내가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대중의 관음 욕망과 왕실 구성원의 사생활은 종종 불협화음을 일으켰다. 미디어는 그 간극을 파고들며 왕실 내 ‘인간의 얼굴’을 드러냈다. 1995년 다이애나비의 BBC 인터뷰로 시작된 폭로의 정점은 지난해 해리 왕자와 메건 마클 왕자비의 오프라 윈프리 쇼였다. 이 인터뷰에서 그들은 로열패밀리를 가리켜 가족이 아니라 기업(a firm)이라고 털어놨다.
군주제의 존속을 떠나 현대의 왕실이 대중의 선망·환상·질시·연민 등에 기대어 굴러가는 셀럽 비즈니스 공동체란 걸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아이러니한 것은 70년 재위 내내 스포트라이트의 중심에서도 여왕이 인터뷰를 거의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런던올림픽 개막쇼에 제임스 본드와 등장하고 플래티넘 주빌리 당시 패딩턴 베어 인형과 차를 마시는 순간에도 여왕은 자연인이 아닌 임무(duty)에 충실한 공직자였다. 묻히는 순간까지 그는 본분에 충실했다. 기꺼이 참배 줄(이른바 the Queue)에 함께한 이들은 여왕의 헌신을 기리며 1인 미디어로 남겼다. 미디어에서조차 그는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았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rug-ridden depiction of Suriname shows Korean media must do better
- Bank of Korea signals a change in stance after Fed's big hike
- Singer BoA addresses hate comments after recent 'Street Man Fighter' episode
- In New York, Yoon only gets brief talks with Kishida, Biden
- Park Eun-bin of 'Extraordinary Attorney Woo' to go on tour across Asia
- 'Born Pink' by Blackpink sells over 2 million units in first two days since release
- Honey J's agency sets record straight regarding reports about her fiancé
- Bellygom in New York
- Kim Min-jae nominated for Serie A Player of the Month
- Lotte World Adventure Busan to hold 'Purple Lights Up' event ahead of BTS conc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