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조달 빨간불' 카드·저축은행.. 서민 급전창구 어쩌나

강한빛 기자 2022. 9. 23. 04: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준금리 인상기 속 카드·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자금조달에 비상이 걸렸다.

문제는 기준금리가 오르면 카드사의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저축은행은 자금 조달의 대부분을 예금 등 수신상품에 의존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기 속 수신금리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조달비용 부담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반기는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기준금리 인상기 속 카드·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자금조달에 비상이 걸렸다.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조달비용이 덩달아 늘어나면서다. 금융사의 조달비용이 커지면 대출금리가 오를 개연성이 커져 서민의 이자부담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따르면 여신전문금융채권 AA+ 3년물 금리는 지난 21일 5.086%를 기록했다. 1년 전만해도 여전채 AA+ 3년물 금리는 1%대 후반에 머물렀지만 지난 6월 초 4%대에 올라선 뒤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해 9월 2%대를 넘어섰고 올 3월에는 3%대를 돌파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주효했다.

카드사는 예·적금 등의 수신 기능이 없어 카드론 등 대출 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70% 이상을 여전채를 통해 조달한다. 문제는 기준금리가 오르면 카드사의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이는 결국 카드론 금리 인상으로 이어진다.

특히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21일(현지시간)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2.25~2.50%에서 3.00~3.25%로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밟으면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명분도 커졌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한 달 전까지만 해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리는 점진적 인상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연준의 금리 인상 직후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 자리에서 "금리인상의 전제 조건이 바뀌었다"고 말하며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씩 인상)을 시사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탈, 원화가치 하락이 불가피한만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도 상황은 비슷하다. 저축은행은 자금 조달의 대부분을 예금 등 수신상품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준금리 인상으로 수신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면서 부담이 커졌다. 이미 연 4%대 예금상품도 등장했다.

조달비용이 늘자 이는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5대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의 상반기 순익은 363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5.6% 줄었다. 조달비용 부담이 커지면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권의 신용대출 가중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지난 7월 기준 연 14.72%로 집계됐다.

저축은행권의 신용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지난해 12월 연 15.10%로 집계된 이후 올해 1월 14.68%로 14%대로 내려 앉은 뒤 2월, 3월, 4월 연속해 떨어지다가 지난 5월(연 14.7%) 상승 전환했다. 이후 6월(연 14.56%)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지만 지난 7월 한 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15%대에 바짝 다가서게 됐다.

이에 OK저축은행은 지난 20일 공시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OK저축은행이 유상증자를 실시한 건 지난 2016년 이후 약 6년만이다. 이는 조달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기 속 수신금리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조달비용 부담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반기는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나온지 얼마 됐다고…'아이폰 14 프로' 카메라 결함?
"사실 조상신 모신다"… 조이, 무속인이었다?
"의대 선호"… 서울대 330명 자퇴, 집계 이래 최다
"못 잊었나"… 지드래곤, 제니와 투샷에 '좋아요♥'?
돈을 바닥에 깔고 잤다는 트로트가수… 누구?
이경실 "아들 사고쳐 할머니 돼"… 손보승 혼전임신 언급
세종 제외 지방 '조정대상지역' 풀렸지만… 매수는 글쎄
오현경 무슨 일 있나… "무너지지 않기 위한 용기"
실외마스크·입국검사 완전해제?… 방역완화 속도
"♥김지민 돈 많아 좋아해?"… 김준호, 당황한 사연

강한빛 기자 onelight9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