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에 쏠린 세계의 관심, 거품 안 되려면[K-아트의 현주소/김주원]
김주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2022. 9. 23.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랑스의 '좋은 시절'을 의미하는 벨 에포크(Belle ´Epoque)는 다섯 차례의 만국박람회를 열며 파리가 호황을 누리던 시기와 거의 같다.
1855년부터 개최된 파리 만국박람회는 수백만 명의 방문객을 불러들였고 파리는 기술과 무역, 예술과 문화, 그리고 관광의 중심지가 되었다.
파리의 '벨 에포크'가 자국 내에서 개최한 만국박람회 효과라고 한다면, '자포니즘'은 서구의 만국 박람회장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일본 문화 외교의 결과였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좋은 시절’을 의미하는 벨 에포크(Belle ´Epoque)는 다섯 차례의 만국박람회를 열며 파리가 호황을 누리던 시기와 거의 같다. 1855년부터 개최된 파리 만국박람회는 수백만 명의 방문객을 불러들였고 파리는 기술과 무역, 예술과 문화, 그리고 관광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른바 만국박람회 효과다.
만국박람회 효과의 또 다른 양상도 있다. 19세기 후반 유럽과 미국에서 만개했던 일본 환상과 ‘자포니즘(Japonism·일본풍)’이다. 1860년대부터 일본은 파리, 런던, 빈 등지에서 열린 박람회에서 이상적인 민족, 국가로서의 이미지를 줄곧 제시해 왔다. 이후 일본은 유럽 문명보다 더욱 뛰어난 신비롭고 이상적인 이미지로 통했다. 빈센트 반 고흐 등의 예술가들의 화면에 유행처럼 인용되었으며 서구 미술사의 새로운 조형 실험을 견인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유포된 자포니즘은 30∼40년간 지속되면서 일본의 정치적·경제적 이득을 성취하게 하였다. 파리의 ‘벨 에포크’가 자국 내에서 개최한 만국박람회 효과라고 한다면, ‘자포니즘’은 서구의 만국 박람회장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일본 문화 외교의 결과였다.
이달 초 한국에서 열린 국제 아트페어인 ‘키아프(KIAF)’와 ‘프리즈 서울’은 동시대 예술계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연일 국내외 관람객으로 성황이었다. 이 기간을 전후해 영국 테이트미술관, 미국 구겐하임미술관,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LACMA), 뉴욕현대미술관(MoMA) 등의 미술관장을 비롯해 국제적인 문화예술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들어왔다. 이들은 일정을 쪼개 한국의 중견 작가들을 직접 만나거나 작가의 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과 리움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일대 갤러리를 찾기도 했다.
최근 ‘프리즈 서울’과 무관하게 국제적으로 한국을 동경하고 그 이미지를 소비하는 ‘한국 현상’도 심상치 않다. 영국 런던 빅토리아앤드앨버트 박물관은 ‘한류! 코리안 웨이브’ 전시를 24일부터 개최한다. LACMA에선 한국 근대미술 전시 ‘사이의 공간: 한국 미술의 근대’가 얼마 전 개막했다. ‘기생충’ ‘미나리’ ‘오징어게임’ 등 한국 대중문화의 소프트 파워는 연일 세계인들에게 한국 환상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분야를 넘어 부는 ‘한국 현상’의 지속 가능성, 그리고 ‘프리즈 서울’의 향후 효과를 이어갈 계획과 전략이 있느냐이다. 어느 평론가의 지적대로 ‘프리즈 서울’은 한국 현대미술의 ‘다층적 버블 잔치’의 표상에 그칠 수 있다. 국제적인 미술계 인사들이 한국 예술에 대해 더 깊은 인식을 갖게 만들 전략과 계획이 필요하다. 프랑스의 벨 에포크, 일본의 자포니즘은 각각 나폴레옹 3세와 메이지 정부의 원대한 포부, 목표 설정, 장기적 계획 아래 깊숙한 개입이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상기해야 한다.
만국박람회 효과의 또 다른 양상도 있다. 19세기 후반 유럽과 미국에서 만개했던 일본 환상과 ‘자포니즘(Japonism·일본풍)’이다. 1860년대부터 일본은 파리, 런던, 빈 등지에서 열린 박람회에서 이상적인 민족, 국가로서의 이미지를 줄곧 제시해 왔다. 이후 일본은 유럽 문명보다 더욱 뛰어난 신비롭고 이상적인 이미지로 통했다. 빈센트 반 고흐 등의 예술가들의 화면에 유행처럼 인용되었으며 서구 미술사의 새로운 조형 실험을 견인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유포된 자포니즘은 30∼40년간 지속되면서 일본의 정치적·경제적 이득을 성취하게 하였다. 파리의 ‘벨 에포크’가 자국 내에서 개최한 만국박람회 효과라고 한다면, ‘자포니즘’은 서구의 만국 박람회장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일본 문화 외교의 결과였다.
이달 초 한국에서 열린 국제 아트페어인 ‘키아프(KIAF)’와 ‘프리즈 서울’은 동시대 예술계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연일 국내외 관람객으로 성황이었다. 이 기간을 전후해 영국 테이트미술관, 미국 구겐하임미술관,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LACMA), 뉴욕현대미술관(MoMA) 등의 미술관장을 비롯해 국제적인 문화예술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들어왔다. 이들은 일정을 쪼개 한국의 중견 작가들을 직접 만나거나 작가의 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과 리움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일대 갤러리를 찾기도 했다.
최근 ‘프리즈 서울’과 무관하게 국제적으로 한국을 동경하고 그 이미지를 소비하는 ‘한국 현상’도 심상치 않다. 영국 런던 빅토리아앤드앨버트 박물관은 ‘한류! 코리안 웨이브’ 전시를 24일부터 개최한다. LACMA에선 한국 근대미술 전시 ‘사이의 공간: 한국 미술의 근대’가 얼마 전 개막했다. ‘기생충’ ‘미나리’ ‘오징어게임’ 등 한국 대중문화의 소프트 파워는 연일 세계인들에게 한국 환상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분야를 넘어 부는 ‘한국 현상’의 지속 가능성, 그리고 ‘프리즈 서울’의 향후 효과를 이어갈 계획과 전략이 있느냐이다. 어느 평론가의 지적대로 ‘프리즈 서울’은 한국 현대미술의 ‘다층적 버블 잔치’의 표상에 그칠 수 있다. 국제적인 미술계 인사들이 한국 예술에 대해 더 깊은 인식을 갖게 만들 전략과 계획이 필요하다. 프랑스의 벨 에포크, 일본의 자포니즘은 각각 나폴레옹 3세와 메이지 정부의 원대한 포부, 목표 설정, 장기적 계획 아래 깊숙한 개입이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상기해야 한다.
김주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고환율에 ‘S공포’ 덮친 한국경제… 정부 “모든 수단 동원해 대응”
- 대통령실 “尹 발언, 우리 국회 野 향한 것…美·바이든 언급 아냐”
- [사설]쫓아가 30분, 기다려 48초, 막말 사고… 국격 돌아보게 한 외교
- [속보]檢, ‘쌍방울 법카 1억 의혹’ 이화영 구속영장 청구
- [사설]美 금리 3연속 대폭 인상에 1400원 뚫린 환율… 스와프는 언제
- [사설]시한 넘긴 영빈관 예산 슬쩍 끼워 넣기, 대체 누가
- 집값 20% 하락땐 순부채 2배 가까이 급증…영끌족 ‘곡소리’
- [단독]文정부 부동산정책마다 대출 불질렀다…25배 폭증도
- “푸틴을 참호로 보내라”…러, 38곳서 동시다발 ‘반전 시위’
- “文·김혜경 불러라” “김건희 출석해야”…‘진흙탕 국감’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