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엽의고전나들이] 원리원칙과 금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난삼아 '유교∼'를 접두어 삼은 유행어를 쓰는 일이 많아졌다.
가령 노출이 지나치거나 개방적인 생활 태도 같은 데에 일정 부분 거부감을 가진 젊은 여성을 가리킬 때 '유교걸'이라고 하는데, 전통문화의 중요한 축인 유교를 희화한 듯하여 언짢지만 당위성의 강조가 도드라진 유교적 특성을 감안하면 신세대에게 그렇게 받아들여지는 게 그리 이상한 일만은 아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조의 병자호란이 끝난 후, 청나라에 끌려갔던 부녀자들이 돌아왔을 때의 일이다. 전쟁 포로가 생환하였으니 두 팔 벌려 환영해야 했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엄정한 유교 윤리를 내세우며, 이미 실절을 했으니 내쳐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했기 때문이다. 바로 그때, 소설 ‘구운몽’의 작가 김만중은 그 부당성을 논파하는 글을 썼다. “옛사람들은 아내에게 죄가 있으면 내쳤지만 삼년상을 함께 치렀거나 돌아갈 곳 없는 사람은 비록 죄가 있더라도 내치지 않았다”(‘서포만필’(西浦漫筆)에서 인용)는, 지극히 현실적인 사정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래서 “내치는 것도 의리이고, 내치지 않는 것 또한 의리”라고 하여 경직된 논리를 벗어나고자 했다.
이어서 김만중은 “우리나라 사족의 부녀자는 개가하는 사람이 없어서 모두 돌아갈 곳이 없는 사람이 아닌 경우가 없다”는 특수성을 논거로 삼았다. 그리하여 비록 절개를 잃었다 해도 여느 음란한 여성과는 차이가 있으니 별처에 머물게 하면서 사당 제사는 함께하지 않더라도 자식의 어머니로서의 지위는 유지하도록 해주어야 한다는 일종의 절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당대의 선비들은 속환한 여성을 내치는 것이 마치 선비들의 공론인 것처럼 몰아붙임으로써 어진 사람들조차 시류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었다고 개탄했다.
‘금도’(襟度)란 단어를 넘지 말아야 할 선 정도의 의미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디 남들을 포용하는 아량을 뜻한다. 원칙을 지켜 안정된 질서를 유지하겠다는데 탓할 사람이 없지만, 기껏 내세운 원리원칙이 의리를 저버리고 제 잇속만 챙기는 기만책일 때 그처럼 추하고 해로운 것도 없다. 딱한 사람은 저쪽에 있는데 이쪽 감싸기에 나서면서도 원칙 타령만 하려 든다면 옛 선비든 요즘 정치인이든 조롱을 벗어날 길이 없다. 원칙도 의리고, 금도도 의리다.
이강엽 대구교대 교수·고전문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보면 몰라? 등 밀어주잖아” 사촌누나와 목욕하던 남편…알고보니
- ‘이혼설’ 황재균, 아침까지 여성과 술자리 논란…“프로의식 부족” 비판도
- “못생겼다” 말 듣고 차인 여성…한국서 180도 변신 후 인생도 180도 바뀌어
- 무궁화호 객실에서 들리는 신음소리…‘스피커 모드’로 야동 시청한 승객
- “김치도 못 찢어” 76세 김수미, 부은 얼굴에 말도 어눌…건강악화설 확산
- 20대 여성들 대구서 1년반 동안 감금 성매매 당해…주범은 20대 여성
- 아내 몰래 유흥업소 다니던 남편…결국 아내와 태어난 아기까지 성병 걸려
- “발 냄새 맡자” 전자발찌 찬 40대 여성 성폭행 하려다 또 징역형
- 누가 잘못?…범죄로 교도소 간 아내 vs 위로한 女동료와 사랑에 빠진 남편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