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409.7원 마감..13년6개월래 첫 1400원 돌파

김경호 2022. 9. 22. 17: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이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루 새 15원 넘게 뛰어 오르면서 1400원을 돌파했다.

미 연준은 20~21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2.25~2.5%에서 3.0~3.25%로 0.75%포인트 인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400원 돌파는 1997~8년·2008~9년에 이어 역대 세번 째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뉴스1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이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루 새 15원 넘게 뛰어 오르면서 1400원을 돌파했다. 장중에는 1410원도 넘어섰다.

2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94.2) 보다 15.5원 급등한 1409.7원에 마감했다.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한 것은 장 마감 기준으로 금융위기 직격탄을 맞았던 2009년 3월 20일(1412.5원) 이후 13년 6개월 만이다. 역대로 봐도 1400원 돌파는 1997~1998년 외환위기, 2008~2009년 금융위기 때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3.8원 오른 1398.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장 시작 직후 오름폭을 키우더니 곧바로 1400원을 넘어섰다. 이후 1413.4원까지 오르면서 점을 높였다. 장중 고가 기준으로는 2009년 3월31일(1422.0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장 시작 전 정부가 구두개입성 발언을 내놨지만 속수무책 이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환율 상승에 베팅하는 투기심리가 확대되는 추세”라며 “일방적인 쏠림에는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달러 수요자는 선매수하고 매도자는 매도를 미루는 현상들이 있다”며 “정부는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필요한 순간에는 단호하고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원칙을 엄격히 견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두개입성 발언에도 환율은 1400원을 넘어선 후 무섭게 치솟으며 1410원선도 무너뜨렸다.

예견됐던 수준의 금리인상에도 이날 환율이 큰 폭 오른 것은 미 연준이 11월에도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고 내년 4.75~5.0%까지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 ‘점도표’ 발표 때문이다.

미 연준은 20~21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에서 기준금리를 종전 2.25~2.5%에서 3.0~3.25%로 0.75%포인트 인상했다. FOMC 위원들의 금리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올해 말 금리 점도표 중간값은 4.4%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6월 3.4%보다 1.0%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또 내년말 금리 전망치도 4.6%로 6월(3.8%) 보다 0.8%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는 올해 남은 두 차례 회의 동안 최소 한 차례는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정례회의 직후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대가 달성할 때까지 긴축을 멈추지 않겠다”며 “오늘과 같은 큰 폭의 금리인상이 또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