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0.75%p 금리 인상.."금리 내년 4.6% 전망"

정윤형 기자 2022. 9. 22. 11:3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새벽에 발표된 미국의 금리 인상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번에 0.75%포인트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6월과 7월에 이어 3번 연달아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셈이 됐습니다.

이런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은 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전망되는지 이어서 정윤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미 연준이 만장일치로 3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3~3.25%로 오르게 돼, 지난 2008년 1월 이후, 14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번 연준의 결정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지난 6월 전년 대비 9.1%까지 치솟은 뒤, 8%대에서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연준은 성명을 통해 "최근 몇 달간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물가 잡기가 최우선 과제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제롬 파월 /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는데 강력하게 전념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가정과 기업을 대신해 물가 안정 회복에 필요한 도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연준의 거침없는 긴축 행보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를 보면, 연준 위원들은 올해 말 금리 수준을 4.4%, 내년은 4.6%로 예상했습니다.

올해 예상치는 앞서 6월 점도표보다 1%포인트나 높아진 수준입니다.

이는 연준이 올해 남은 두 번의 FOMC 회의에서 금리를 1.25%포인트 추가 인상해야 한다는 의미인데, 결국 최소 한 차례 더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말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5.4%로 기존보다 0.2%포인트 올려잡았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5%포인트나 낮춘, 0.2%로 제시했습니다.

SBS Biz 정윤형입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