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국방성 "러시아에 무기 수출한 적도, 계획도 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은 22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을 위해 무기를 수출한 적도, 그럴 계획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 국방성은 이날 장비총국 부총국장 명의로 발표한 담화를 통해 "우리는 지난 시기 러시아에 무기나 탄약을 수출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군사장비 수출, 주권 국가의 합법적 권리" 주장하기도
(서울=뉴스1) 서재준 기자 = 북한은 22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을 위해 무기를 수출한 적도, 그럴 계획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북한 국방성은 이날 장비총국 부총국장 명의로 발표한 담화를 통해 "우리는 지난 시기 러시아에 무기나 탄약을 수출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 6일 러시아가 북한에 무기 구매 의사를 타진했다면서 포탄과 로켓 등 탄약 수백만발이 거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방성은 이에 대해 "어디서 주워들은 근거 없는 무기 거래설을 내돌리는지 모르겠다"라며 "이는 우리 공화국의 영상에 먹칠을 하자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이 비열한 정치군사적 흉심을 추구하기 위해 함부로 반 공화국 모략설을 퍼뜨리는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엄중히 경고한다"라며 "미국은 우리를 걸고드는 망발을 내뱉지 말고 함구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적 교류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우크라이나의 돈바스 지역을 장악하고 있는 친러 세력인 도네크츠인민공화국(DPR)과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에 대한 북한의 건설자 파견 논의가 시작됐다.
지난달에는 북한이 러시아에 군대를 파병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번 무기 거래설과 관련해선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위반' 비난이 즉각 제기되기도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2006년 대북제재 결의 1718호를 채택하며 북한과 탱크와 장갑차 등의 '7대 무기'를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후 대북제재 결의 1874호와 2270호를 통해 거래 금지 대상을 소형무기 및 경화기로 확대했다.
국방성은 이날 러시아와의 무기 거래설을 반박하면서도 "군사 장비의 개발과 생산, 보유는 물론 다른 나라들과의 수출입 활동은 주권 국가의 고유하고 합법적인 권리이며 그 누구도 이에 대하여 시비질할 자격이 없다"라며 "우리는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조작해낸 불법무도한 유엔 대조선 '제재 결의'라는 것을 애초에 인정해본 적이 없다"라고 반발했다.
seojiba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카페서 드러누워 껴안고 포갠 남녀…"올 때마다 애정행각" 주인 폭발
- 이승기 "장인 사건 피해자들에 진심 사과…처가와 관계 단절할 것"
- "일본 호텔이 안전하다고?"…침대 밑 숨은 남성이 여성 여행객에 한 짓
- "신혼여행서 전남친에 '남편 몰래 만나자' 답장…빈말인데 남편은 이혼 통보"
- "배우 서현진이 한동훈 지지?"…빨간 옷 입고 국힘 포스터 등장한 내막
- '여자 잘 모른다'던 남편 급사…상간녀 줄줄이 등장, '돈 갚으라' 요구도
- "경리와 외도한 전남편, 알고보니 양성애자…월 400만원 보내와 난 흥청망청"
- "가출 뒤 혼외자 낳았다가 아픈 아내 걱정에 복귀…사실혼女, 재산 요구"
- '네버엔딩' 부부 아내 "남편, 엄마와 친언니 성추행해" 충격…진실은
- 김나영, 두아들 엘베 손잡이에 걸터앉은 사진 게재 '논란'…결국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