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1조원 규모 동해가스전 활용 탄소 사업 유치 신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저장(CCS)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사업' 유치계획서를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공모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실현을 위해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는 동해 가스전 활용 탄소 포집·저장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에 앞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함께 추진할 지자체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저장(CCS)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사업' 유치계획서를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공모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실현을 위해 총사업비 약 1조원을 투입하는 동해 가스전 활용 탄소 포집·저장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에 앞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함께 추진할 지자체를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노르웨이, 북미 등은 1990년대 북해 가스전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CO2)를 대염수층에 저장하거나 석유회수증진(EOR)기법으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탄소 포집·저장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번 공모사업처럼 기존 폐쇄된 가스전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은 세계 최초 적용 사례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지리적 접근성, 사업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울산이 최적지라고 판단해 공모 참여를 검토해왔다.
탄소 포집·저장에 따른 지진 위험성과 저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누출로 인한 환경피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여러 차례 전문가 회의를 거쳐 의견을 수렴했다고 시는 밝혔다.
시는 특히,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된 지자체에 탄소 포집·저장 연구개발(R&D)과 안전성 검증을 할 국책센터를 함께 구축해 줄 것을 건의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긍정적인 회신을 받았다.
시 관계자는 "반드시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ant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열애설' BTS 뷔·블랙핑크 제니 결별 | 연합뉴스
- 아내 살해한 대형로펌 출신 50대 변호사 구속 | 연합뉴스
- 아내 출산하러 간 사이 지적장애 후배 성폭행한 20대 기소 | 연합뉴스
- 여의도 생태공원 연못서 70대 남성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 연합뉴스
- 최태원 회장 장녀 최윤정 SK바이오팜 팀장, 임원 승진할듯 | 연합뉴스
- '짜장면 봉사'하던 40대 트레이너, 4명 살리고 하늘로 | 연합뉴스
- 베네치아서 中관광객들 곤돌라 뱃사공 지시 어겼다가 풍덩 | 연합뉴스
- '서울의 봄'서 반란군에 숨진 정 병장에 대학 명예졸업장 | 연합뉴스
- 산책 여성 풀숲 끌고 가 '강간 미수' 40대, 징역 10년 선고받아 | 연합뉴스
- "이걸로 구속되겠어요?" 자신만만한 10대 보험사기 일당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