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獨 숄츠 총리와 뉴욕서 첫 양자회담.."핵심 우방국"(종합)

이동환 2022. 9. 22. 05: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첫 한독정상회담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주유엔 한국대표부 반기문 홀에서 가진 회담에서 숄츠 총리에게 "오늘 회담을 시작으로 앞으로 양국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총리님과 긴밀히 협력하고 싶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한국과 독일은 분단 상황에서 경제 발전이라고 하는 공통의 경험을 공유하는 나라로서 같은 입장에서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尹 "내년 한독 교류 140주년 맞아 방한 제의" 숄츠 "더 많은 회담 희망"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경제안보 논의..한반도 평화 협력 지속키로
악수하는 한-독 정상 (뉴욕=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 한국대표부에서 열린 한독 정상회담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2022.9.22 seephoto@yna.co.kr

(뉴욕=연합뉴스) 한지훈 이동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첫 한독정상회담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주유엔 한국대표부 반기문 홀에서 가진 회담에서 숄츠 총리에게 "오늘 회담을 시작으로 앞으로 양국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총리님과 긴밀히 협력하고 싶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한국과 독일은 분단 상황에서 경제 발전이라고 하는 공통의 경험을 공유하는 나라로서 같은 입장에서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독일은 민주주의, 인권, 법치와 같은 보편 가치를 공유하는 우리 대한민국의 핵심 우방국"이라며 "교역과 투자 면에서도 한국과 독일 양국은 EU(유럽연합) 내에서 가장 모범적인 성취를 이뤄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993년 헬무트 콜 총리가 서울에 온 이후 독일 총리가 방한한 적이 없다"며 "내년 한독 교류 140주년 뜻깊은 해를 맞아 편리한 시기에 방한해주시면 대단히 기쁠 것"이라고 제의했다.

이에 숄츠 총리는 "우리 모두 취임 후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만나 더 기쁘다"며 "당선을 축하드린다"고 인사했다.

그러면서 "유엔총회를 계기로 만나 오랜 시간 대화를 나누기는 어렵겠지만, 이번 회담을 시작으로 한국에서뿐 아니라 독일로도 대통령을 초청해 저희가 더 많은 양자 회담을 했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 양국관계 발전 방안 ▲ 경제안보 이슈 ▲ 한반도 및 주요 국제정세 등을 논의했다고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양국 정상은 핵심 우방국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키켜 온 점을 평가했다고 이 부대변인은 밝혔다.

또 한독 교류 140주년을 맞이해 정상급을 포함해 각급에서 다양한 교류를 하며 양국 관계가 한층 더 심화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같은 경제안보 문제에 대해서도 양국간 협력의 잠재력이 크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이어 관련 분야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한독 양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국제정세 변화도 정상회담 테이블에 올랐다.

양국 정상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양국간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이 부대변인은 전했다.

뉴욕에서 만난 한독 정상 (뉴욕=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 한국대표부에서 한독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22.9.22 seephoto@yna.co.kr

hanj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