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45년 만에 최대 폭락..대풍년 볏짚만큼 쌓이는 시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도 닷섬 농사는 되겄는디."
같은 날 영산강 인근 나주시 세지면 송촌마을에서 만난 나주농민회 사무국장 김재영(50)씨는 "낟알 수나 벼 길이, 처진 정도를 보면 올해도 넉섬 반 농사는 거뜬할 것 같다"고 했다.
통계청의 '산지쌀값조사'(정곡 20㎏, 매달 15일 기준)를 보면 2019년 9월 4만6834원이었던 쌀값은 2020년 9월 4만8143원, 2021년 9월 5만4228원으로 가파르게 올랐다가 올해 9월 4만725원까지 내려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쌀농사 지어봤자 손해만 늘어
정부 소극 대응·정책에 한숨만
“올해도 닷섬 농사는 되겄는디….”
19일 오전 전남 영암군 월출산 자락 무내미들에서 누렇게 익어가는 벼를 바라보던 영암쌀생산자협의회 사무국장 김봉식(47)씨가 말끝을 흐렸다. 그가 말한 ‘닷섬 농사’는 대풍(大豐)을 뜻하는 남도 농사말이다. 200평 논 한 마지기(661㎡)를 기준으로 석섬(1섬은 160㎏)을 수확하면 보통, 넉섬은 풍년, 닷섬은 대풍년인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풍의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다. 같은 날 영산강 인근 나주시 세지면 송촌마을에서 만난 나주농민회 사무국장 김재영(50)씨는 “낟알 수나 벼 길이, 처진 정도를 보면 올해도 넉섬 반 농사는 거뜬할 것 같다”고 했다. 하지만 대풍의 예감 앞에서도 농부들의 표정은 마냥 밝지 않았다.
벼 수확을 앞둔 농가에 시름이 쌓여가고 있다. 쌀값 때문이다. 올해 쌀값은 정부가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7년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통계청의 ‘산지쌀값조사’(정곡 20㎏, 매달 15일 기준)를 보면 2019년 9월 4만6834원이었던 쌀값은 2020년 9월 4만8143원, 2021년 9월 5만4228원으로 가파르게 올랐다가 올해 9월 4만725원까지 내려갔다.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던 지난해 10월5일(5만6803원)에 견줘 28.3%가 떨어진 것이다. 정부는 쌀값 안정을 위해 2월과 5월, 7월 세 차례에 걸쳐 37만t을 비축미로 사들였지만, 늘어난 수확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정부는 쌀값 폭락 원인으로 생산 과잉과 소비 부진을 꼽는다. 하지만 농민들 생각은 다르다. 정부의 소극 대응과 정책 실패 탓이 가장 크다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벼 생산량은 2018년 386만8045t, 2019년 374만4450t, 2020년 350만6578t, 2021년 388만1601t이었다. 2020년은 태풍으로 작황이 부진했지만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쌀 생산면적은 2018년 73만7673㏊에서 2019년 72만9814㏊, 2020년 72만6432㏊까지 줄었다가 2021년 73만2477㏊로 다시 늘었다. 올해는 72만7158㏊다. 그사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8년 61㎏에서 56.9㎏으로 줄었다.
2021년 쌀 재배면적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전남친환경농업인연합회장 유장수(52)씨는 정부의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중단’을 꼽았다. 정부가 쌀 수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2018년부터 논에 콩 등 다른 작물을 재배하면 보조금을 지급했는데, 2020년에 이를 중단하자 지원금을 받으려고 논을 늘린 농민들이 새 논에 일손이 덜 드는 벼를 심으면서 생산량이 급증했다는 것이다.
쌀값 폭락은 농민들의 가계 적자로 이어지고 있다. 김봉식씨가 밝힌 소득 내역을 보면, 논 한 마지기에서 나오는 수입(넉섬 기준)은 지난해 69만3천원에서 49만5천원으로 줄었고 비료·인건비 등 영농비용은 48만4500원에서 53만9250원으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논 한 마지기에서 20만원의 순수익을 올렸다면 올해는 4만4천원을 손해 보는 셈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올해 1~8월 밥쌀용 쌀 1만7297t을 수입해 시장에 방출한 것도 논란을 자초했다. 국회가 양곡관리법을 개정해 과잉 생산분의 매입을 의무화하려는 것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대책은 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유장수씨는 “재배기술 향상을 전제로 생산량 증대에 대비해야 한다. 친환경 벼 생산 지원, 가공산업 육성 등 더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윤 대통령, 욕설 “국회서 이 XX들이…바이든은 쪽팔려서” 포착
- 구글·오라클 임원 불러놓고…윤 대통령, 중기부 행사 ‘노쇼’
- 일본 취재진만 있는 곳에서…윤 대통령, 기시다 총리와 30분 대화
- 윤 대통령, 국가교육위원장에 ‘친일미화’ 역사학자 이배용 임명
- “푸틴, 그만해라” 러시아 곳곳 ‘동원령 반대’ 시위…800명 체포
- 한-미 정상회담 불발…윤 대통령, 바이든 찾아가 ‘48초 대화’
- ‘외계 금붕어’ 미스터리 화석은…‘이 달린 혀’ 가진 “연체동물”
- “정치권, 제발 BTS 머리서 지워줬으면”…부산콘서트에 화난 아미들
- 미·러, 아슬아슬한 레드라인…우크라전 확전·수습 기로에
- 가장 선명한 해왕성 고리…제임스웹, 30년 만에 위성까지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