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방송 '성적 수치심'→'성적 불쾌감' 바꾸기가 그리 어렵나

한겨레 2022. 9. 21. 18: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친구를 만나러 지하철을 타고 가는 중에 열차 안에서 안내방송이 나왔다.

<한겨레> 는 성추행 피해자들이 불쾌감, 분노 등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를 보도한 바 있다('성적 수치심, 안 느꼈는데요? '성적 빡치심'을 느꼈어요', 2020년 8월15일). 이 기사와 '검찰, '성적 수치심' → '성적 불쾌감' 성차별 용어 바꾼다'(2021년 5월25일 <한겨레> )를 참고자료로 제시하며, 서울교통공사에 지하철 안내방송에서 '성적 수치심'을 '성적 불쾌감'으로 변경해달라는 민원을 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21일 오전 출근 시간 시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왜냐면] 김선애 | 서울시민

친구를 만나러 지하철을 타고 가는 중에 열차 안에서 안내방송이 나왔다. 열차에서 금지된 행위를 알리는 내용이었는데,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행위”라는 말이 귀에 들렸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수치’를 ‘다른 사람들을 볼 낯이 없거나 스스로 떳떳하지 못함 또는 그런 일’이라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성추행 때, 수치심은 가해자가 느껴야 할까, 피해자가 느껴야 할까?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행위’라는 표현은 피해자에게 수치심을 강요하는 것 아닌가.

<한겨레>는 성추행 피해자들이 불쾌감, 분노 등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를 보도한 바 있다(‘성적 수치심, 안 느꼈는데요? ‘성적 빡치심’을 느꼈어요’, 2020년 8월15일). 이 기사와 ‘검찰, ‘성적 수치심’ → ‘성적 불쾌감’ 성차별 용어 바꾼다’(2021년 5월25일 <한겨레>)를 참고자료로 제시하며, 서울교통공사에 지하철 안내방송에서 ‘성적 수치심’을 ‘성적 불쾌감’으로 변경해달라는 민원을 냈다. 서울교통공사의 답변이 왔다. ‘이 방송의 내용은 국토교통부에서 교통안전공단과 제작해 전 철도기관에 적용하는 것이라, 서울교통공사에서 바꿀 수 없다.’

그래서 이번엔 국토부에 ‘서울 지하철을 포함해 이 안내방송이 나오는 모든 철도기관에서 해당 표현을 교체해달라’는 민원을 냈다. 국토부는 민원을 한국교통안전공단과 지자체 교통공사들로 넘겼다.

교통안전공단은 ‘현재 안내방송은 철도안전법에 있는 법정 용어인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행위’를 그대로 쓴 것으로, 추후 법 개정 시 ‘성적 불쾌감’이란 용어로 교체하자는 의견을 건의하겠다’고 답했다. 대전도시철도의 경우,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행위’라는 표현을 쓰지 않지만 전광판에는 나온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동차 관련 모든 사항은 철도안전법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철도안전법이 먼저 개정돼야” 한다고 했다.

지하철에서 성추행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에게 부끄러움을 느낄 것을 강요하는 방송을 들을 때면 마음이 불편하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비롯해 수많은 시민이 이 방송을 계속 듣는다면, ‘다른 사람을 존중하지 않는 가해자는 떳떳해도 되고, 피해자는 떳떳하지 못하다’는 잘못된 인식이 뿌리내릴 수도 있다. 한시라도 빨리 철도안전법을 개정해 모든 철도기관의 안내방송과 안내문구에서 ‘성적 수치심’을 ‘성적 불쾌감’으로 바꿔주길 바란다. 모두가 안전하고 마음 편히 살 수 있도록.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