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총리 "그렇다면 만나지 말자"..韓 정상회담 선발표에 발끈

박인혜,김성훈,김규식 2022. 9. 21. 17: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 동시발표 관례 깼다며 발끈
기시다 "만나지 말자" 반응까지
극우 지지층 반발도 영향미쳐
여왕장례식에 바이든 일정꼬여
한미정상회담도 혼선 불가피
尹 어떤식으로든 IRA어필할듯

◆ 尹대통령 뉴욕 방문 ◆

한일 관계 개선에 기대를 걸고 있는 한국 정부에 대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사진)가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며 양국 정부가 정상회담 성사 여부를 놓고 막판까지 진통을 거듭했다. 다만 양측 모두 지난 5년간 악화 일로였던 한일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있었던 만큼, 막판까지 조율에 조율을 거듭하며 끊임없는 '밀당(밀고 당기기)'을 한 것으로 21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시작은 지난 15일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의 "한일정상회담은 (양국 간) 흔쾌히 합의가 됐다"는 발언이었다. 2년10개월 동안 없었던 한일정상회담이 윤석열 대통령 취임 4개월여 만에 성사됐다는 사실상의 '확인'이었던 셈이다. 한일정상회담은 꼬일 대로 꼬인 양국 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유력한 '톱다운' 방식 해법이라는 점에서 유엔총회 이전부터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일본 분위기는 달랐다. 해당 발언 이후 곧바로 일본 산케이신문은 일본 외무성 측이 한국 대통령실의 이 같은 발표에 항의 의사를 표했다는 내용을 보도했고, 20일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출국한 기시다 총리는 "현재 일정은 아직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21일에는 일본 아사히신문이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기시다 총리가 한국 측의 한일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일방적 발표에 불쾌감을 표시했다고 전하면서 기시다 총리는 "그렇다면 반대로 만나지 말자"고 반응했다고 보도했다. 외교 관례상 양국이 동시에 발표하는 정상회담을 한국 측이 서둘러 먼저 발표한 것에 대해 만만찮은 뒤끝을 보인 셈이다.

이에 대해 일본 내에서 기시다 총리와 집권 여당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어, 기시다 총리로서는 극우 성향의 지지층을 의식해 선뜻 한국과 손잡는 모습이 부담스럽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측에서도 한국과 일본이 마주 앉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러나 기시다 총리의 현재 일본 내 지지율이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정상과 만나 회담을 하는 것 자체가 일본 내에서 어떻게 읽힐지에 대한 고민이 컸다고 알려졌다. 한국도 이 같은 일본 내 분위기에 대해 인지하고, 이후 극도로 말을 아꼈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대통령 순방 때 진행하던 사전 일정 브리핑 등에서도 한일정상회담과 관련한 내용은 빠졌다.

한미정상회담은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찾은 자리에서 한 차례 진행된 지 4개월밖에 되지 않은 데다가,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서도 한·미·일 정상회담을 진행한 바 있어 시급한 의제는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 행정부와 의회가 사인, 시행에 들어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서 한국 전기차 업체들이 혜택 대상에서 빠지며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이 때문에 한국은 이번 유엔총회 참석차 진행된 순방에서 한미정상회담도 추진했고, 실제로 양국 간 30분가량의 짧은 정상회담이 진행될 예정이었다.

다만 문제는 바이든 대통령의 여러 정치 일정이 꼬이면서 발생했다. 당초 정상회담을 논의할 당시만 해도 전혀 예상치 못했던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별세라는 사건이 생긴 것이다. 이로 인해 바이든 대통령과 윤 대통령 등 전 세계 정상들은 19일(현지시간) 장례식 참석을 위해 런던에 집결했고, 곧바로 다음 날인 20일 시작되는 유엔총회의 '일반토의(General Debate)' 일정이 맞물리게 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원래 윤 대통령과 같은 날인 20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었으나, 20일 워싱턴DC에 머물기로 하면서 기조연설을 21일로 미뤘고, 결국 20일과 21일 양일로 나누어 진행하기로 했던 바이든 대통령과 각국 정상들의 양자회담은 대거 스케줄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다만 이날 바이든 대통령 부부 주최 리셉션이 열린 만큼, 여기서 윤 대통령은 IRA 관련 한국 기업 피해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을 상대로 문제 제기를 할 것으로 파악된다.

[뉴욕 = 박인혜 기자 / 서울 = 김성훈 기자 / 도쿄 = 김규식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