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 깬 韓 회담 발표가 불쾌한 기시다.."그럼 만나지 말자"

박가영 기자 2022. 9. 21. 15: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일 양국이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는 한국 측 발표에 강한 불쾌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되면 양국이 논의해 일정을 동시에 발표하는 것이 외교 관례인데, 한국 정부가 이를 따르지 않았다고 판단에 이런 반응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가 정상회담 합의 사실을 부인하자 한국 정부도 개최 여부에 대해 "언급할 게 없다"고 태도를 바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사히, 日정부 관계자 인용해 보도.. "만남 성사돼도 단시간 접촉에 그칠 듯"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AFPBBNews=뉴스1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일 양국이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는 한국 측 발표에 강한 불쾌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21일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기시다 총리가 한국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에 "그렇다면 반대로 만나지 말자"며 불쾌한 심기를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되면 양국이 논의해 일정을 동시에 발표하는 것이 외교 관례인데, 한국 정부가 이를 따르지 않았다고 판단에 이런 반응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정부는 지난 15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이 양자 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흔쾌히 합의됐다"고도 했다.

그러나 일본 측 반응은 달랐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같은 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기시다 총리 뉴욕 방문의 구체적인 일정은 현시점에서 전혀 결정되지 않았다"며 선을 그었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은 이 문제가 한일 간 신뢰 관계와 관련이 있다며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발표는 삼가달라"고 한국 측에 항의했다고 한다.

기시다 총리는 전날 뉴욕으로 출발하기 전 총리 관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관한 질문을 받자 "현재 일정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답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가 정상회담 합의 사실을 부인하자 한국 정부도 개최 여부에 대해 "언급할 게 없다"고 태도를 바꿨다. 그간 한일 정상회담 개최가 불투명하다는 일본 현지 언론의 보도에도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힌 것과는 다른 분위기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AFPBBNews=뉴스1

한일 관계 악화하면서 양국 정상 간 회담은 2019년 12월 문재인 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전 총리가 만난 이후 성사된 적 없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지난 6월 스페인에서 열린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서 처음 대면하고 한미일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별도의 양자 회담은 진행하지 않았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두 정상은 21일(현지시간·한국시간 22일)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만남이 성사되더라도 짧은 시간 접촉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사히는 복수의 외무성 간부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며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의 일본식 표현) 문제에 일정한 진전이 없는데 정식 회담을 하면 '한국에 양보한 것 아니냐'는 자민당 보수파의 반발이 나올 것"이라며 "기시다 총리의 당내 기반이 약한 상태인 데다 내각 지지율도 급락하고 있어 신중히 판단하는 걸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2018년 한국 대법원은 신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강제 동원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고 확정 판결했다.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과 2015년 한일 외교장관 합의에 따라 강제징용, 위안부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이에 어긋나는 판결이 나온 데 대해 한국 정부가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前 티아라 한아름 "뇌수막염 투병 중인 아들, 암 검사 이상 없다고""배고파 물에 벨트 넣고 끓여"…11살에 두만강 건넌 탈북민 사장신봉선, 발레리노 썸남에 돌직구 질문 "어머니가 뭐라셔?"'환갑' 김청, 아들 임신 도전? "세상에 불가능한 건 없다"탁재훈 "넌 돌돌싱, 우리랑 달라"…이지현 분노하며 주먹질
박가영 기자 park080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