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 먹을 때 콜라 대신 마셔요"..BTS 정국도 반한 음료

하수정 2022. 9. 21. 1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콤부차가 연 8조원 규모의 국내 음료시장에서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음료 제조업체 뿐 아니라 커피업체, 식품업체들도 콤부차 시장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타먹는 분말형 콤부차를 유행시킨 티젠을 비롯해 매일유업, 롯데칠성음료, 빙그레, 풀무원, LG생활건강(해태htb), 아모레퍼시픽(오설록), 이디야커피, 투썸플레이스 등이 줄줄이 콤부차 시장에 뛰어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부는 콤부차 열풍
매일유업 롯데칠성 빙그레 등 잇따라 출사표
"디톡스 효과 있지만 당뇨환자는 과다섭취 피해야"
사진=V라이브 캡처


콤부차가 연 8조원 규모의 국내 음료시장에서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음료 제조업체 뿐 아니라 커피업체, 식품업체들도 콤부차 시장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콤부차는 콜라 등 기존 탄산음료를 대체할 수 있는 건강음료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관련 시장은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해 콤부차 시장 34% 성장

21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그랜드뷰리서치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콤부차 시장은 26억4000만 달러(3조6700억원)로 집계됐다. 올해는 35억3000만 달러(4조8700억원)로 전년대비 33.7% 증가하고 2030년에는 97억 달러(13조5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에서도 콤부차 열풍이 뜨겁다. CJ올리브영은 콤부차 취급품목 수를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늘렸다. 올 1~9월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두 배(101%) 증가했다.

사진=한경DB


타먹는 분말형 콤부차를 유행시킨 티젠을 비롯해 매일유업, 롯데칠성음료, 빙그레, 풀무원, LG생활건강(해태htb), 아모레퍼시픽(오설록), 이디야커피, 투썸플레이스 등이 줄줄이 콤부차 시장에 뛰어들었다.   

업계에선 콤부차가 탄산음료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잠식해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발효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탄산이 생성되는 콤부차를 햄버거나 피자를 먹을 때 콜라대신 찾고 있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음료 시장은 2020년 기준 8조5880억원에 달한다. 이중 탄산음료가 2조151억원(23.4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항산화·면역력 효과"

콤부차는 홍차, 녹차 등을 우린 추출액에 '스코비'라고 부르는 효모균을 넣어 발효한 음료다. 발효과정에서 프로바이오틱스 등 여러 유익균이 생성돼 미용 뿐 아니라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주희 매일유업 이노베이션센터 연구원은 “콤부차에 함유된 글루크론산, 글루콘산 같은 많은 유기산 등이 체내의 독소를 빼 주는 디톡스 효과를 내고 항산화 효과도 있다"며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콤부차는 미란다 커, 올랜도 블룸, 아만다 사이프리드, 레이디 가가, 린제이 로한 등 해외 셀럽 뿐 아니라 국내에선 방탄소년단(BTS) 정국이 마시며 유명세를 탔다. 최근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선 스코비를 분양받아 집에서 콤부차를 만들어 먹을 정도로 인기다. 

실제 매일유업이 크라우드 펀딩을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플랫폼인 카카오메이커스에서 '더그레잇티' 콤부차를 선판매하며 소비자 구매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98%의 만족도를 얻었다. 매일유업 관계자는 "콤부차에 들어간 탄산이 강하지 않고 음식과 곁들이기에 좋다는 긍정적 평가가 많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스코비의 먹이 역할을 하는 원당이 함유돼있는 만큼 당뇨, 비만이 있을 경우 과다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