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탈중국화, IRA론 부족..美, '원산지 증명제' 도입 전망

노정동 2022. 9. 21. 13: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계기로 전기차 배터리 '원산지 증명' 같은 제도를 도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IRA 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북미 지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배터리 광물을 40% 이상 사용해야 한다.

IRA 법안만으로는 배터리 공급망에서 완전한 '탈 중국화'가 사실상 어려워 '원산지 증명 제도'를 추가 도입해 그물망을 더 촘촘히 하겠다는 복안인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계기로 전기차 배터리 '원산지 증명' 같은 제도를 도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김광주 SNE리서치 대표는 전날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KABC 2022(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에서 "IRA의 실질적 경계 대상인 중국 자본을 공급망 관리(SCM)에서 완전히 제외하기란 사실상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리튬·망간 등 원자재 쪽은 호주, 칠레 같은 미국에 우호적인 지역에 분포돼 있지만 중국 자본들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한다"며 "셀과 전해액, 동박 같은 부분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광물의 광산 뿐 아니라 가공업체 대부분이 중국 회사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원자재와 음극재처럼 시간이 지나도 IRA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짚었다.

IRA 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북미 지역이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배터리 광물을 40% 이상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2027년에는 이 비율이 80% 이상으로 올라간다.

배터리 부품의 경우 북미 지역에서 생산한 부품을 내년부터 50% 이상, 오는 2029년에는 100%를 사용해야 한다.

IRA 법안만으로는 배터리 공급망에서 완전한 '탈 중국화'가 사실상 어려워 '원산지 증명 제도'를 추가 도입해 그물망을 더 촘촘히 하겠다는 복안인 셈이다.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있어서 중국 기업들의 영향력은 하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다.

중국은 해외 광물을 수입해 정제하는 공급망을 탄탄히 구축해 전 세계 리튬의 60%, 코발트의 80%를 가공해 수출하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수산화리튬의 84%를 중국에서 수입한다.

세계 리튬 채굴량에서 중국의 비율은 13%에 불과하지만 정제 리튬 시장 점유율은 무려 60%에 육박한다. 자국의 저렴한 노동력, 세제 혜택 등을 바탕으로 비용을 줄인 결과다.

중국 리튬 회사들은 남미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사들인 광산에서 리튬을 채굴, 배터리 등에 필요한 탄산리튬이나 수산화리튬으로 가공한다.

세계 리튬 매장량의 60%는 남미의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염호 등 '리튬 삼각지'에 몰려 있다. 중국 배터리 제조 기업인 톈치리튬은 칠레 최대 리튬 업체인 SQM 지분 24%를 확보했고, 간펑리튬은 지난달 아르헨티나 광산 채굴 회사 '리테아'를 인수했다. 특히 간펑리튬은 호주, 멕시코, 아일랜드의 주요 리튬 광산 지분도 갖고 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 집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BEV·PHEV) 배터리 매출 총액은 427억3000만달러(약 58조7000억원)이었다. 이 중 중국 CATL이 130억달러(약 17조9000억원)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올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매출액은 108억9000만달러(약 15조원·26%)로 CATL 한 곳 매출보다도 적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