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눈은 이렇게 생겼을까..믿을 수 없는 우주의 모습

곽노필 2022. 9. 21. 1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그리니치천문대가 주최하는 '올해의 천문 사진가' 공모전에서 레너드혜성(C/2021 A1)을 찍은 '단절사건'(Disconnection Event)이 대상을 차지했다.

레너드혜성은 지난해 최고의 천문 관측 이벤트 가운데 하나로 주목을 끈 바 있다.

천문대는 "행성·혜성·소행성 부문에 출품된 사진의 약 4분의 1이 이 혜성이었다"며 "레너드혜성이 올해의 하이라이트였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천문학과 신화와 예술의 아름다운 결합"
그리니치천문대, 11개 부문 수상작 발표
'혜성의 꼬리가 끊어지는 순간' 대상 선정
달 부문 1위 ‘플라톤의 동쪽 테두리’ Shadow Profile of Plato's East Rim by Martin Lewis
은하 부문 1위 ‘장엄한 솜브레로은하’. Majestic Sombrero Galaxy by Utkarsh Mishra, Michael Petrasko and Muir Evenden -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Galaxies
사람과 우주 부문 1위 ‘고요의 기지를 통과하는 국제우주정거장’.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Transiting Tranquility Base by Andrew McCarthy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People and Space Winner
오로라 부문 1위 ‘녹색 숙녀의 품에서’. In the embrace of a green lady by Filip Hrebenda _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Aurorae winner
신인상 ‘대설산을 가로지르는 은하수 다리’. The Milky Way Bridge across Big Snowy Mountains by Lun Deng
이미지 혁신 부문 1위 ‘태양 나무’. Solar Tree by Pauline Wooley -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Annie Maunder Prize for Image Innovation
청소년 경쟁 부문 1위 ‘안드로메다은하’. Andromeda Galaxy INSERT COLON The Neighbour by Yang Hanwen and Zhou Zezhen
별과 성운 부문 1위 ‘신의 눈’. The Eye of God by Weitang Liang -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Stars Nebulae

영국 그리니치천문대가 주최하는 ‘올해의 천문 사진가’ 공모전에서 레너드혜성(C/2021 A1)을 찍은 ‘단절사건’(Disconnection Event)이 대상을 차지했다. 레너드혜성은 지난해 최고의 천문 관측 이벤트 가운데 하나로 주목을 끈 바 있다.

2022년 천문사진 공모전 대상 ‘단절 사건’. Disconnection Event by Gerald Rhemann/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14회째를 맞은 올해 공모전에는 67개국에서 3천편 이상의 작품이 출품됐다. 심사는 특별상 2개 부문을 포함해 모두 11개 부문에 걸쳐 진행됐다.

‘행성·혜성·소행성 부문’ 우승작이기도 한 대상 사진은 사진작가 제럴드 레먼이 지난해 12월 크리스마스 당일에 남아프리카의 나미비아에서 촬영한 것으로 혜성의 푸른색 긴 가스꼬리가 강력한 태양풍 입자에 부딪히면서 잘려나가는 순간을 포착했다. 이런 현상을 ‘단절 사건’이라고 부른다.

4만년 전 지구에서 5200억km 떨어진 오르트구름대에서 탄생한 레너드혜성은 지난해 1월 지구-태양 거리의 5배 되는 곳(7억5천만km)까지 다가왔을 때 처음 발견됐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엔 지구 최근접 지점(3500만km)을 지나 근일점(태양에서 9200만km)을 향해 날아가는 중이었다.

천문대는 “행성·혜성·소행성 부문에 출품된 사진의 약 4분의 1이 이 혜성이었다”며 “레너드혜성이 올해의 하이라이트였다”고 밝혔다. 심사위원 이마드 아메드는 “천문학과 신화, 예술이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다”며 “우아한 모습의 단절사건을 잡아낸 것은 과학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다”고 평했다.

하늘경치 부문 1위 ‘별 찌르기’. Stabbing into the Stars by Zihui Hu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Skyscapes winner

하늘경치 부문에서는 눈 덮인 산을 배경으로 별의 이동 궤적을 담아낸 ‘별 찌르기’가 차지했다. 사진 속의 산은 해발 7천미터가 넘는 티베트자치구의 남차바르와산이다. 사진작가는 “남차바르와산은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눈산”이라고 말했다.

1년간 명멸한 태양의 흑점 띠가 한자리에

태양 부문 1위 ‘태양의 1년’. A Year in the Sun by Soumyadeep Mukherjee - Astronomy Photographer of the Year 2022 Our Sun

태양 부문에선 인도 벵골주 콜카타에서 1년에 걸쳐 촬영한 ‘태양의 1년’에 1위가 돌아갔다.

작가는 2020년 12월25일부터 2021년 12월31일까지 6일을 제외하고 365일동안 촬영한 것을 합친 사진이라고 말했다. 이 기간 중 나타난 흑점 127개가 한 장의 사진에 모두 담겨 있다.

흑점은 처음엔 적도 남북으로 15~35도 지점에서 나타났다가 점차 적도 쪽을 향해 이동한다. 이를 ‘슈푀러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