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한민국 역사가 유엔의 역사"..유엔 총장 "尹 연설에 감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대한민국 역사란 유엔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한국과 유엔의 유대감을 강조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비서관은 이날 미국 뉴욕 시내 한 호텔에 마련된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윤 대통령과 구테흐스 총장이 윤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 후 유엔 사무국에서 만났다"며 "총 25분동안 대화가 이어졌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대한민국 역사란 유엔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한국과 유엔의 유대감을 강조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윤 대통령의 연설에 감명받았다"고 공감을 표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비서관은 이날 미국 뉴욕 시내 한 호텔에 마련된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윤 대통령과 구테흐스 총장이 윤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 후 유엔 사무국에서 만났다"며 "총 25분동안 대화가 이어졌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구테흐스 총장에게 "보건위기에 시달리는 국가, 디지털격차를 좁히고 싶지만 좁힐 수 없는 국가, 탈탄소를 추진하지만 여건이 어려운 국가에 선도국들이 협력하고 도와줘야한다"고 말했고, 구테흐스 총장은 "ODA(공적개발원조), 국제협력을 증진한다는 윤 대통령의 연설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윤 대통령의 구상, 개도국에 대한 지원, 디지털플랫폼 정부에 대한 공고한 연대, 그리고 압도적 지원을 약속하겠다"고 덧붙였다.
구테흐스 총장은 또 "윤 대통령의 연설은 유엔의 생각과 전략,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들어보니 지금 당장 사무총장을 해도 손색이 없겠다"고 덕담을 했다.
윤 대통령은 구테흐스 총장과의 만남 전에 가진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유엔이 창립된 직후 세계 평화를 위한 첫 번째 의미있는 미션은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고 유엔군을 파견해 대한민국의 자유를 수호한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세계 시민의 자유 수호와 확대, 그리고 평화와 번영을 위해 UN과 함께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 내용은 윤 대통령이 연설 직전에 추가한 내용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구테흐스 총장에게 이를 언급하면서 "대한민국은 건립부터 유엔 창립 시기와 맥을 같이한다"며 "대한민국과 유엔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저는 국민을 대표해 이를 잊지 않고 있다. 따라서 유엔에서 세계의 자유를 지키는 모든 활동에 적극 협력하고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구테흐스 총장도 "한국은 유엔 회원국 중 가장 모범적이고 환상적인 파트너"라며 " 유엔이 늘 옳은 선택을 한 것은 아니었지만 70여년 전 한국을 지켜낸 것은 정말 제대로 한,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김 수석은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이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와 오찬을 하면서 북한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가졌다고 전했다. 김 수석은 "북한의 비핵화와 함께 개방화를 시도할 때 국제 금융기구와 국제기관의 조력이 전폭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데 뜻을 함께 했다"고 밝혔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연녀 살해하고 시신 싣고와 자수…베트남 남성 엽기행각
- "이게 실화?"…식당서 밥먹던 절도 수배범, 맞은편 형사들에 `덜미`
- 버스 추돌한 음주운전자 흉기 들고…"신고자 살해하겠다"
- "이러면 찾아가는 방법밖에 없지"…351회 문자 협박한 신당역 살해범
- 부축 받으며 무대 선 안성기…"혈액암 투병 중"
- "이젠 못 믿는다"…트럼프 경제지지율 부정평가 역대 최저
- `한미 2+2통상협의`, 24일 밤 9시 확정…"관세 협상 신호탄"
- `무서운` 삼성, 강력한 `래미안` …넉달만에 재개발·재건축 수주 `역대 최고` 돌파
- 12조 추경 "경기진작용 한계"…대선 후 대규모 추경 가능성
- [르포] "사람 없어도 로봇·AI가 척척"… `꿈의 공장` 기술 집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