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건축] 자다가 가는 꿈

이승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2022. 9. 21. 0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승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태풍 힌남노에 이어 난마돌이 동해안쪽으로 빠져나갔다. 유달리 올해는 폭우와 태풍으로 인한 재해가 잦다.

지난 8월 서울을 강타한 물폭탄으로 신림동 반지하의 일가족 세 명과 상도동 반지하 주민 한명이 참변을 당했다. 숨진 이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지는 먹먹함은 어찌할 수 없어도 칠순의 노모를 모시는 40대의 딸이 장애를 가진 언니, 그리고 열 세살의 딸과 함께 당한 반지하의 참사는 안타깝기 그지없다. 사용한 비닐봉지까지 씻어 다시 써가며 모은 돈으로 장만했다는 반지하의 집은 말 그대로 뼈빠진 노력의 끝이었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새로운 희망의 허리 졸라맴이었을 것이다. 그런 희망을 이번 폭우는 그리도 쉽게 빼앗아 가버렸다.

우리를 더 상심케 하는 것은 재해와 재난 그 자체보다는 예방이 가능한 예견된 재해였다는 사실이고, 그것은 대게 어렵고 힘든 이웃을 대상으로 함에 있다.

반지하는 소설과 영화의 주제로 많이 다뤄져 왔다. 영화 기생충의 모티브이기도 한 반지하는 1970년대 지하대피소라는 군사 목적으로 만들어져 불법적 주거와 합법적 주거를 거쳐 지금에 이르렀다. 이곳은 습기·곰팡이와 싸우고 천식과 기침을 달고 사는 주거의 사각지대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만 20만 가구에 약 36만명의 시민이 반지하에 거주한다. 반지하의 주거자는 고령자, 1인가구, 장애인의 주거 비율이 높다고 한다. 반지하에 주거하는 60살 이상의 고령층은 약 30%에 달하며, 또한 약 56%에 가까운 가구가 1인가구이고, 장애인 가구는 약 15%에 달한다고 한다. 즉 반지하는 고령에 1인 가구 비율이 압도적이다.

사회안전망의 촘촘함은 이런 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의 촘촘함을 말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주택개발정책 등을 통해 모든 국민이 쾌적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의무'를 헌법으로 정하고 있고, 우리 국민은 '물리적·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생활을 할 권리'를 주거기본법으로 보장받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UN이 유일하게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국가지위를 변경한 유일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의무로부터 외면 받고 주거의 권리가 보장받지 못하는 사회적 그늘이 존재한다. 우리는 늘 사후약방문처럼 이렇게 저렇게 외친다. "재난관리 원점 재검토", "반지하주택 중점관리", "반지하 주거실태조사" 등 요란을 떤다. 그 뒤에 그 일들은 망각의 곡선처럼 서서히 잊혀져 가다 새로운 재난이 다시 그것을 불러낸다.

8월 폭우 참사의 학습효과 때문인지 힌남노 때는 지나칠 정도로 온 나라가 태풍에 매달렸다. 태풍의 경로가 시시각각 방송으로 보도되고 엄청난 파도가 덮치는 해안가에서 실시간 태풍을 취재하는 기자의 모습은 살신성인마저 느끼게 한다. 이런 온 국민의 관심과 노력으로 힌남노와 난마돌의 피해는 그나마 최소화할 수 있었다.

올해는 무사히 넘겼더라도, 지자체단체장이 바뀌어도, 대통령이 바뀌어도 재해와 재난으로부터 우리가 보듬어 안아야 할 이웃들에 대한 보호는 절대 멈춰서도 바뀌어서도 안 된다. 윤석열 정부는 국민이 원하는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더 큰 대한민국'과 '더 따뜻한 대한민국'으로 만들어 가겠다는 국정철학을 밝혔다. 이제 우리나라도 잘사는 것만이 아닌 어떻게 '함께' 잘 살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얼마 전 자원봉사프로그램으로 독거 어르신을 만나 얘기를 나눈 적이 있다.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아프신 곳은 없으세요? 지금 무얼 가장 바라고 계세요?"라는 늘상 나누는 대화였다. 그 분의 그 말씀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 "이 나이에 멀 바랴, 그냥 가는겨어, 자다가 가는겨어"라는 말씀에 외로움과 두려움이 함께 묻어나온다. 그냥 주무시다가 돌아가시는 것이 그 분이 원하는 이 세상의 마지막 모습이다. 그 분이 외롭고 무섭게 내버려 두지 않는 것이 우리의 사회안전망이다. 그 분의 작은 소망인 자다가 가는 꿈을 이제 우리는 돌보아야 한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