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대 330명 자퇴, 23년 만에 최대.. 가장 많은 단과대는

강우량 기자 2022. 9. 20. 21: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서울대생 330명이 학교를 중도에 그만두고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가 자퇴생 통계를 집계한 1998년 이후 23년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서울대 정문 /뉴스1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20명 수준이던 자퇴생 수는 2020년 264명, 지난해 330명으로 크게 늘었다. 작년 자퇴생 수는 1998년 이후 최고치다.

2012년 이후 지난달까지 약 10년 동안 자퇴생 합계는 총 1990명으로 집계됐다. 단과대별로는 공과대학(551명), 농생명과학대학(489명), 자연과학대학(270명) 순으로 많았다. 모두 이공계열이다. 3개 단과대 자퇴생 수를 합치면 1310명으로 전체의 65.8%를 차지한다.

사범대학 생물·화학·지구과학·물리·수학교육과와 수의과대학, 간호대학, 식품영양학과 등 범이공계열로 넓히면 총 1676명이 자퇴해 전체의 84.2%였다. 같은 기간 의·약학대학의 자퇴생 수는 총 16명에 불과했다.

문 의원실은 “이는 대부분 자퇴생들이 의·약학대 진학을 염두에 두고 떠났기 때문”이라며 “향후 의대 증원 및 약대 학부전환이 실시될 경우 이공계 이탈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 의원은 “이공계열 자퇴생의 급증은 과학기술 발전의 근간을 약화시킬 중대한 사안”이라며 “서울대는 물론, 교육부 등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