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논문 100편 발표

이순용 2022. 9. 20. 11: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연구팀이 100번째 논문을 발간했다.

연세사랑병원은 앞서 특허청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3D 인공관절 수술과 관련한 특허를 획득하고 인공관절 수명연장을 위한 카본 신소재 논문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연구의 길을 걷고 있다.

그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쓴 100편의 논문 중 90여편의 논문은 동양인에 맞는 인공관절 개발을 위해 쓰였다.

한편 연세사랑병원은 인공관절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 관절치료 관련 연구도 지속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연구팀이 100번째 논문을 발간했다. 최근 연세사랑병원은 세계적 학술지 ‘Bone & Joint Reaserch’에 논문 ‘Computational analysis of tibial slope adjustment with fixed-bearing medial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in ACL- and PCL-deficient models’을 게재했다. 이로써 연세사랑병원은 7년 만에 인공관절 논문 100편을 달성하게 됐다.

연세사랑병원은 풍부한 임상경험과 폭 넓은 의료진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와 별개로 환자의 니즈에 시시각각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의료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인공관절·줄기세포 전문회사인 티제이씨라이프와 협약하여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메이요클리닉, 존스홉킨스대학이 연구소, 산학협력을 통해 의료기술을 꾸준히 개발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7년여에 달하는 연구 기간 중 가장 주목할만한 성과는 ‘3세대 인공관절’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 병원서 자체 데이터를 통해 인공관절을 개발한 사례는 없다. 연세사랑병원은 3D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을 진행한 환자 1만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동양인에게 맞는 3세대 인공관절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에만 총 7년이 걸렸다. 연세사랑병원이 병원 자체 데이터를 가지고 독자적으로 개발한 이 인공관절은 이미 식약처 허가를 마친 상태다. 빠르면 올해 연말부터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세사랑병원은 앞서 특허청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3D 인공관절 수술과 관련한 특허를 획득하고 인공관절 수명연장을 위한 카본 신소재 논문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연구의 길을 걷고 있다. 연세사랑병원이 이처럼 연구를 지속해온 이유는 환자에게 좋은 치료법을 제공하고, 좋은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선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믿음에서다. 그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쓴 100편의 논문 중 90여편의 논문은 동양인에 맞는 인공관절 개발을 위해 쓰였다. 100편의 논문 중 4개의 연구 논문이 Bone & Joint Reseach와 Lubricants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진들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병원을 믿고 찾아주시는 환자분들께 좋은 치료를 제공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한편 연세사랑병원은 인공관절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 관절치료 관련 연구도 지속하고 있다. SCI급 논문만 25여편에 달한다. 또한 줄기세포에 관한 임상 논문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논문 표지.

이순용 (syle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