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특별연합 좌초 위기..3개 시도 입장 차 커

이상준 2022. 9. 19. 21: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내년 1월, 공식 사무를 시작하는 부울경 특별연합.

부울경 메가시티로 가기 위한 첫 단계지만 시작도 하기 전에 좌초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경남은 특별연합이 실익이 없다며 추진을 중단한다고 발표했고, 울산은 경주와 포항과의 동맹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시도 달리 대안이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부울경 특별연합이 출범하고, 내년 1월, 공식 사무 개시를 앞뒀지만, 제동이 걸렸습니다.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용역을 진행한 경상남도는 특별연합은 '옥상옥'기구로 비용만 낭비하고 실익이 없다며 추진을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광역교통망 구축 등 순기능이 있지만 부산 중심의 빨대 효과로 경남 산업의 경쟁력 저하와 경남 서부권 소외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법률적 지원 근거가 없는 특별연합 대신 행정통합을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 : "특별연합을 하면 오히려 나중에 잘못되면 부울경 통합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저는 의미가 없는 게 특별지방자치단체라고 생각합니다."]

울산시도 부산으로의 쏠림 현상을 이유로 부울경 특별연합 대신 경주와 포항과의 협력을 우선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부산같은 경우는 너무 크고, 경남이나 울산은 상대적으로 제반 여건이 성숙하지 못해요. 서로 경쟁력이 있을때 했으면 좋겠다는(생각입니다.)"]

다급해진 부산시는 기획조정실장이 나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협의를 계속 하겠다는 말 외에는 달리 할 말이 없었습니다.

[송경주/부산시 기획조정실장 : "부산시는 논의가 닫힌 것이 아니라 오늘 새롭게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경남, 울산과 협의를 진행해 나갈 것입니다."]

부울경 특별연합은 특별의회 구성과 사무소 위치 선정 등의 절차가 전면 중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울경 특별연합이 공식 사무도 개시하기 전에 좌초 위기에 처한 가운데, 3개 시도의 입장 차가 워낙 커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이동훈

이상준 기자 (lsjun@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