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사오정은 저 따라한 거 맞죠?/탐조인·수의사

2022. 9. 19. 0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예전에 재미있게 본 만화 중에 수호지를 각색한 '날아라 슈퍼보드'라는 만화가 있다.

그중 사오정은 아주 인상 깊은 인물로, 아직도 말귀가 어두운 사람을 '사오정'이라고 하기도 한다.

사오정은 큰 입에서 나방을 내보내지만 쏙독새는 큰 입으로 나방을 흡입한다는 차이랄까? 세계적으로 여러 종류의 쏙독새가 살고 있는데, 그중 어떤 쏙독새는 나무 끝에 앉은 모습이 그냥 나뭇가지처럼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 5. 충남 보령. 나무 위에서 쉬고 있는 쏙독새.

예전에 재미있게 본 만화 중에 수호지를 각색한 ‘날아라 슈퍼보드’라는 만화가 있다. 그중 사오정은 아주 인상 깊은 인물로, 아직도 말귀가 어두운 사람을 ‘사오정’이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오정의 압도적인 특징은 이것만 있는 게 아니라 입을 크게 벌리면 독나방들이 우르르 나오는 필살기에도 있는데, 사오정 피규어는 이것을 형상화하기도 했다.

그후 시간이 흘러 새를 보러 다니는 게 취미가 되면서 새와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여러 편 보게 됐는데, 쏙독새라는 새를 보는 순간 사오정이 생각났다. 작은 눈과 몹시 커다란 입, 그리고 그 큰 입에서 나오는 나방. 사오정을 만든 작가가 어디선가 쏙독새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고 밖으로 보이는 특징을 차용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싶을 정도로 외모의 느낌이 비슷하다.

쏙독새는 나무껍질과 구분이 잘 안 가는 색과 무늬를 가진 야행성 여름철새다. 낮에는 숲속 나무 위에서 쉬다 밤이 되면 시야가 트인 나무에서 주변을 살피고는 커다란 입을 벌리고 날아다니며 나방을 비롯한 벌레들을 잡아먹는다. 사오정은 큰 입에서 나방을 내보내지만 쏙독새는 큰 입으로 나방을 흡입한다는 차이랄까? 세계적으로 여러 종류의 쏙독새가 살고 있는데, 그중 어떤 쏙독새는 나무 끝에 앉은 모습이 그냥 나뭇가지처럼 보인다. 그 상태로 입을 벌리고 앉아 있다가 주변에 나방이나 다른 벌레들이 오면 얼른 잡아먹는다고 하니 식충식물 같은 사냥을 하는구나 싶다.

우리나라에 오는 쏙독새는 봄밤에 매우 빠르게 “쏙쏙쏙쏙” 또는 “쏙독쏙독” 하고 울어서 쏙독새다. 그 소리가 고수들이 도마질하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도마새라고도 한단다. 한번 들으면 쉽게 잊혀지지 않을 강렬한 소리인데, 동네 뒷산에서는 한번도 들은 적이 없고, 사람이 적은 동네의 야산 인근에서만 종종 소식이 들린다.

쏙독새는 깃털색이 소쩍새랑 비슷하고 같은 야행성이라 소쩍새랑 닮은 새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입이 매우 크고, 그에 따라 몸에 비해 머리도 크며, 날개는 몹시 길고 다리가 아주 짧은 점이 파랑새와 훨씬 비슷하다는 걸 알았다. 그러고 보니 날면서 벌레를 잡아먹는 것도 파랑새랑 같다. 그런데 파랑새는 예쁘게 보이고 쏙독새는 못생긴 느낌이 드는 건 깃털 때문이겠지? 만화 주인공 같은 우스꽝스러운 모습이라 친근한 사오정으로 탄생한 것일지도 모른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