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강력대비로 치명사고 막아"..포스코 책임론 일축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2022. 9. 18. 14: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핵심요약
주말에도 복구작업…최정우 회장 "현 피해 상황에 억장 무너져"
정부 "태풍 충분히 예보됐는데 피해 발생 이유 따질 것" 맞대응
포항제철소 정상화 기간 두고도 포스코-정부 전망 엇갈려
포스코 제공

포스코는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이런 상황이 '천재지변'(自然災害)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강력한 사전 대비로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18일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포스코 책임론을 일축하기 위한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포스코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태풍이 오기 전 최초로 전(全) 공정 가동 중단 조처를 해 대형 화재·폭발·인명피해 등 치명적 사고를 방지하고 압연 지역 모터 등 주요 설비 대부분이 재생 가능한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도 이런 큰 피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따져보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 14일 철강산업 수해 현장 복구를 총력 지원하기 위해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 TF'를 운영하는 한편 민관합동 철강수급 조사단을 구성해 피해 상황 파악과 현장 복구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도 이런 큰 피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따져보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이번 태풍 피해가 포스코가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던 인재(人災)는 아니었는지, 포스코가 피해 상황을 축소 보고한 것은 아닌지 등을 면밀히 조사해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포스코가 지난 주말 포스코 및 협력사의 1.5만 임직원이 포항제철소 수해 복구작업을 지속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포항제철소 직원들이 침수 피해를 크게 입은 포항제철소 압연지역(후판공장) 지하설비 복구 활동을 하는 모습. 포스코 제공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된 '철강수급 조사단'은 지난 16일 1차 조사를 위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포스코는 "힌남노가 초강력 태풍이라는 예보에 통상적인 태풍 대비책과는 다른 훨씬 더 강력한 방재 대책을 수립했다"며 "제철소 전체 정전과 침수에 의한 2차 사고로 화재, 폭발, 인명피해 등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태풍이 오기 전 전 공정 가동중단이라는 특단의 조처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전에 전 공정 가동을 중단하지 않았다면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고로의 경우 송풍 설비가 정지되며 쇳물이 외부로 역류해 화재와 폭발이 발생할 수도 있었다"며 "제강공장 역시 쇳물을 담는 용기인 래들이 흔들려 공장 바닥으로 유출돼 대형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침수 피해는 냉천 범람이 발생하기 전에는 미미했으나 새벽에 갑작스럽게 냉천의 급격한 범람이 발생해 대량의 토사와 하천수가 일시에 제철소 내부로 밀려들어 사람 키 높이로 공장들이 물에 잠겨 버렸고 급기야 제철소 전체의 정전이라는 초유의 위기 상황을 유발했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도 전날 포항제철소를 찾아 복구 활동에 동참하며 임직원들에게 '천재지변'으로 큰 피해를 봤는데 "국가 경제에 대한 영향 최소화를 위해 사명감을 가지고 복구 활동을 지속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직원들의 모습과 현 상황을 바라보니 억장이 무너진다"며 "복구 작업 내내 가슴이 먹먹했다"고 말한 바 있다.

주말에도 복구 활동이 이어지면서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포항제철소 압연공장의 배수 작업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압연 지역의 전력공급은 67%가 진행됐다.

포스코는 "현재 압연지역 지하 시설물 진흙과 뻘 제거 작업에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하고 있다"며 "15일 3전기강판공장 가동에 이어 17일에는 2전기강판공장 일부도 가동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당분간 그룹 내 전 계열사가 동참해 포항제철소 복구에 매진하기로 했다. 19일부터 이달 말까지도 3천여 명의 그룹 임직원이 포항제철소 현장을 찾아 복구 활동에 참여할 계획이다.

포스코가 지난 16일 압연지역 배수를 완료하고 전력공급을 확대하는 등 포항제철소 정상화를 위해 복구작업에 매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포항제철소 3전기강판공장 정상화 후 생산한 첫 전기강판 제품. 포스코 제공


한편 포항제철소의 정상화 기간을 놓고도 포스코와 정부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포스코는 이달 말까지 전기강판 공장을 정상화하고 후판 공장은 10월까지, 냉연·열연공장은 12월 초까지 모두 정상 가동하며 3개월 안에 복구작업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반면 정부는 포항제철소의 완전 정상화까지 걸리는 기간을 6개월 이상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포항제철소의 정상화에 걸리는 시간이 3개월을 넘어설 경우 자동차와 조선, 가전 등 전방산업으로 피해가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기차 구동모터의 핵심 소재인 전기강판을 비롯해 선재와 스테인리스스틸(STS) 등 일부 철강 제품은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만 생산되고 있어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포스코는 열연과 후판, 스테인리스 등 주요 제품의 재고를 2~3개월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 필요시에는 해외생산법인을 활용해 철강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sykim@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