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지지율 뉴스'가 지겨우신가요? [The 5]
‘우리가 시간이 없지 관심이 없냐!’ 현생에 치여 바쁜, 뉴스 볼 시간도 없는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뉴스가 알려주지 않은 뉴스, 보면 볼수록 궁금한 뉴스를 5개 질문에 담았습니다. The 5가 묻고 담당 기자가 답합니다.▶▶주간 뉴스레터 휘클리 구독신청 검색창에 ‘휘클리’를 쳐보세요.
추석 연휴가 끝난 직후 정치권에선 ‘추석 민심’을 저마다 해석하느라 분주합니다. 언론은 윤석열 대통령이 싸늘한 민심을 되돌렸을지 전망하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정치권과 언론이 기다리는 숫자는 하나, 대통령 지지율입니다. 당분간 선거도 없는데 왜 정치권과 언론은 대통령 지지율에 민감한 걸까요? 왜 우리는 매주 대통령 지지율을 지켜봐야 하는 걸까요? 김미나 정치부 기자와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에게 물었습니다.
[The 1]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인데, 왜 정치권과 언론은 대통령 지지율에 이토록 신경 쓰는 걸까요?
김미나 기자: 대통령이 당선된 뒤에는 국민들이 대통령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판단할 수 있는 도구가 여론조사밖에 없어요. 그래서 대통령실도 모든 부서에서 여론조사업체 조사와 대통령실 자체 조사에서 나타난 지지율 추이를 평가 지표로 삼고 있습니다. 자신들이 어떤 업무를 잘 추진한 건지, 앞으로 어떤 업무를 추진할지 판단 근거로 활용하는 거죠.
국회 상황과도 관련 있죠. 국회에선 더불어민주당이 거대 야당이라서 대통령이 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책을 추진하는 기반이 되는 게 민심이라고 보는 거 같아요. 최소 지지율을 40%로는 올려야 대통령이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The 2] 대통령 지지율 뉴스가 지겹다는 이들도 있는데요. 우리에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김미나 기자: 우리는 선거를 통해 ‘내 손으로 대표를 뽑았다’는 정치효능감을 느끼잖아요. 여론조사도 우리에게 그런 느낌을 줄 때가 있어요. 윤석열 정부가 7살에 초등학교를 입학하는 방안을 추진하려다 여론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철회했잖아요. 여론이 정부가 일을 제대로 하도록 견제한 거에요. 대의민주주의에선 중요한 부분이죠.
또 여론조사를 할 때 ‘왜 대통령이 일을 못한다고 생각하냐’고 이유를 묻기도 하거든요. 윤 대통령의 경우엔 인사 문제가 가장 많이 꼽혔어요. 얼마 전 대통령실이 개편된 데에는 그런 여론도 반영된 거라고 생각해요.
[The 3] 대통령 지지율이 계속 낮은데 대통령실 분위기는 어떤가요?
김미나 기자: 공개적으로는 “연연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속마음은 아니겠죠. 지지율이 20%대까지 떨어졌을 때 ‘어떻게 하면 올릴 수 있지’ 하고 걱정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다양한 카드를 마련해 하나씩 던졌는데, 그게 효과가 없는 상황인 거고요.
하지만 윤 대통령이 바뀌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취임 100일 기자회견 때도 낮은 지지율과 관련해 질문이 나오니까 답변을 피했거든요.
[The 4] 우리만 매주 대통령 지지율을 조사하나요?
윤희웅 센터장: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지도자 평가는 일반화 돼 있어요. 미국, 프랑스, 독일 등에서도 지지율 조사는 많이 해요. 다만 그 결과가 보도되는 양태는 달라요. 다른 나라에선 기사 제목으로 지지율 수치를 뽑지 않아요. 선거 때가 아니면 정치 흐름을 읽거나 민심을 분석하는 과정에 지지율이 하나의 요소로 들어가죠.
그런데 한국에선 조사 결과 자체만을 부각해요. 이런 문제도 있어요. 우리 언론은 관행적으로 ‘대통령 지지율’이라고 표현하잖아요. 유권자는 그저 대통령이 일을 잘하는지 평가한 건데, 정치적인 시각만 부각한 거죠. 안 그래도 정치 공방이 첨예하게 벌어지는 나라인데, 여론조사 결과를 정치적 공세 또는 방어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거에요.
[The 5] 대통령 지지율이 그렇게 중요하다면 여론조사도 좀 개선해야겠네요.
윤희웅 센터장: 우리는 대통령이 일을 잘하는지만 획일적으로 묻잖아요. 대통령에 호감이 가는지, 정책 방향이 맞다고 보는지 다양하게 물으면 좋겠어요. 대통령을 더 입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요. 프랑스는 다양한 질문 표현을 쓰고 조사 결과를 발표할 때 사용한 설문 문구를 기재해요. 독일에선 주로 만족 여부를 묻고요.
언론도 변화가 필요한데요. 우리 언론들도 10년 전쯤 여론조사 전문기자를 두기도 했었는데 자리잡진 못했어요. 앞으로는 조사 결과를 심층적·본질적으로 보도하려는 시도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해외 언론사 중엔 홈페이지에 여론의 추이와 변화를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두기도 하거든요.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해트트릭 첫골뒤 손흥민 벅찬 묵례…“클래스는 영원하다”
- ‘오늘 같은 밤이면’ 가수 박정운, 간경화 투병 중 별세
- “개인기·골 결정력·인성까지…세상 모든 감독들의 꿈” 손흥민 격찬
- 푹푹 찌는 더위 데려온 난마돌…내일 새벽 영남권 강풍·폭우
- 고구려·발해 삭제해버린 중국…한국 찾은 리잔수 “있어선 안됐을 일”
- 수해 망언 김성원보다 이준석이 급해?…국힘, 윤리위 ‘급’ 소집
- “솔직히 좌절도 했지만…” 손흥민 더 강해진 이유를 말하다
- ‘라면+김밥’도 부담…3천~5천원 마트도시락 불티나게 팔렸다
- 태풍 난마돌 상륙한 일본…기시다 “주저말고 대피해 생명 지키라”
- 내일 여왕 장례식 참석…윤 대통령, 김건희 여사와 순방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