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아베 정권 때 일부 납북자 일시귀국 제안했지만 日 거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2014년과 2015년 일본인 납북 피해자의 일시 귀국을 제안했지만, 당시 일본 아베 신조 정권이 거부했다고 교도통신이 17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북한은 일본 정부가 납치 피해자로 인정한 다나카 미노루와 납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네다 다쓰미쓰의 일시 귀국을 제안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2014년과 2015년 일본인 납북 피해자의 일시 귀국을 제안했지만, 당시 일본 아베 신조 정권이 거부했다고 교도통신이 17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북한은 일본 정부가 납치 피해자로 인정한 다나카 미노루와 납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네다 다쓰미쓰의 일시 귀국을 제안했습니다.
북한이 이들의 일시 귀국을 제안한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습니다.
앞서 두 사람이 북한에서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고 북한이 일본 측에 설명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북한은 20년 전인 2002년 9월 17일 평양에서 열린 사상 첫 북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를 인정했고 피해자 중 5명의 일본 귀국을 허용했습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인정한 납북 피해자는 17명으로, 일본 측은 이들 5명의 귀국 이후에도 나머지 12명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북한은 12명 중 8명은 사망했고 나머지 4명은 북한에 입국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다가 2014년 북일 합의에 따른 재조사를 거쳐 2015년 ‘8명 사망·3명 미입국’으로 정정했습니다.
이 무렵 북한이 다나카와 가네다의 일시 귀국을 일본 측에 제안했는데, 일본 정부가 이들 2명의 일시 귀국을 계기로 납치 문제를 마무리하려는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 가능성을 우려해 제안을 거부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습니다.
이들이 귀국해도 다시 북한으로 돌아갈 것으로 생각했고, 요코타 메구미 등 다른 납북자의 안부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는 상황에서 북한의 제안에 응하면 납치 문제를 마무리하려는 북한을 도와주게 된다고 판단했다고 당시 북일 교섭에 관여한 일본 측 관계자가 교도통신에 말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납북자의 안부에 대한 북한 측의 설명을 신뢰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2004년 북한이 일본인 납치 피해자의 상징적인 인물인 요코타가 사망했다는 증거라며 유골을 보냈지만, 감정 결과 다른 사람의 유골로 드러난 적이 있습니다.
게다가 다나카와 가네다는 일본에 친척이 거의 없어 다른 납북자에 비해 일본 사회의 관심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시 아베 정권은 북한의 제안을 공개하지도 않고 거부했다고 교도통신은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은 “북한의 공작을 의심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피해자 전원의 조기 귀국을 목표로 한다는 원칙적인 입장과 모순된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정부가 두 사람의 가치를 낮게 보고 귀국을 뒤로 미뤄도 된다고 생각했다면 헌법 14조 ‘법 아래 평등’에 어긋난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황경주 기자 (rac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위조지폐를 둘러싼 재판…경찰은 왜 영치금을 건넸나?
- 한미 “북핵에 전례 없이 압도적 대응”…‘담대한 구상’ 강력 지지
- [특파원 리포트] ‘역사 왜곡’ 중국 전시회가 남긴 것
- 손흥민 골 침묵? 모두를 침묵시킬 골이 필요한 시점
- ‘몸집 불린 난마돌’ 북상…제주·영남 해안 영향권
- ‘넉 달 내릴 비가 3시간 만에’…이탈리아 물폭탄 10명 사망
- “마약 국가라니” 수리남 반발…세계적 주목 받는 ‘K드라마’의 숙제
- ‘7천 년의 삶을 담아낸 시집’…할머니·할아버지가 쓴 시 100편을 만나다
- 300여 회 스토킹에도 ‘불구속’…보복 범죄 기회 줬다
- [단독] ‘피해자 보호’ 요청했어도 범행 못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