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의 명암]④ '탄소 없는 섬' 제주, 출력 제한에 몸살..불균형의 부작용
[KBS 광주] [앵커]
에너지 전환으로 다방면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어촌의 상황, 연속 보도를 통해 살펴보고 있는데요.
이미 10년 전에 '탄소 없는 섬'을 선언한 제주도는, 에너지 전환의 시행착오 역시 앞서 밟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도의 수요량보다 훨씬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하면서 발전소를 강제로 멈추는 '출력 제한'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10년 전, 제주도는 전력 수요의 100%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하겠다며 '탄소 없는 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후 제주도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점유율은 급증했습니다.
탄소 중립엔 한발 가까워졌지만 다른 문제가 생겼습니다.
생산한 전기를 송전망이 감당하지 못해 강제로 발전소를 멈춰야 하는 상황이 잦아진 겁니다.
태양광·풍력 발전소에 대한 '출력 제어'가 지난해 65차례, 올 상반기에만 88차례나 발생했습니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보상도, 사전 설명도 없이 갑자기 발전소 운영이 중단돼 수익이 깎이는 셈입니다.
[강용권/태양광 발전소 운영 : "처음 허가할 때 전기가 남아돌면 출력 제한 할 수 있다, 뭐 이런 얘기를 했으면 더 고민을 했을 텐데 그때는 전혀 그런 얘기가 없었거든요."]
10여 년 뒤엔 제주에서 해마다 3백 차례가 넘는 출력 제한으로 손실액이 5천 억 원을 넘을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남는 전기를 육지로 더 많이 보내거나, 저장 장치에 모았다 쓰는 방안이 있지만 아직은 역부족입니다.
[고윤성/제주도청 저탄소정책과장 : "시간은 더 필요합니다. 빠르면 내년 가을 그리고 2024년 상반기 부터는 (저장 장치가) 기능을 할 것이라 보고 있고요."]
출력 제어는 제주도만의 일이 아닙니다.
태양광 발전소가 집중된 신안 안좌면에서도 지난해 3차례 출력 제어가 시행됐습니다.
[김동주/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 "우리나라는 유럽과는 다르게 다른 나라와는 전력망 연결이 안 됐기 때문에 일종의 전력망으로서는 고립된 섬 지역이라 할 수 있고 그 축소판이 제주도입니다. 그래서 제주도의 사례가 선도적으로 겪고 있는 경험이고..."]
출력 제어에 대한 법적 근거와 보상 규정을 마련하는 제도적 정비와 함께, 특정 지역에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지나치게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계획 입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양창희 기자 (shar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300여 회 스토킹에도 ‘불구속’…보복 범죄 기회 줬다
- [단독] ‘피해자 보호’ 요청했어도 범행 못 막았다
- ‘나홀로 순찰’ 지하철 역무원…CCTV로 본 아찔 순간들
- ‘난마돌’ 日 규슈 상륙할 듯…영남 해안은 ‘직접 영향권’
- ‘靑 공원·관광상품화’에 467억원…尹 “영빈관 신축 전면 철회”
- 태풍 침수 차량 9대 잇따라 화재…“시동전 점검을”
- “좋아하는데 안 받아주니”…서울시의원 ‘실언’ 논란
- ‘오징어 게임’ 주역들 “제도적 육성보다 창작 기회·자유 줘야”
- 알프스 빙하 올해 최대로 녹아…“2100년 완전 사라질 수도”
- “사실상 담합”…‘통신3사 신규요금제 모두 비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