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평양사무소장, "2018년 기점으로 북한 식량사정 빠르게 악화"

김소영 2022. 9. 16. 16: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4년 이후 호전되던 북한 식량사정이 2018년 기점으로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국제기구의 분석이 나왔다.

협동농장에서 분배를 받고 있거나 텃밭 등을 갖고 있는 농민은 국가 배급 대상인 도시민에 견줘 그나마 상황이 낫다는 평가도 제기됐다.

안드레아 바뇰리 유엔세계식량계획(WFP) 평양사무소장은 '북한 식량안보 상황: 2년간의 코로나 봉쇄, 동향, 전망' 주제발표에서 "2018년을 경계로 식량 소비와 섭취 식품 다양성이 크게 악화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1차 북한농업세미나’에서 안드레아 바뇰리 유엔세계식량계획(WFP) 평양사무소장이 북한 식량 소비지수와 섭취 식품 다양성을 설명하고 있다. 

2014년 이후 호전되던 북한 식량사정이 2018년 기점으로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국제기구의 분석이 나왔다. 협동농장에서 분배를 받고 있거나 텃밭 등을 갖고 있는 농민은 국가 배급 대상인 도시민에 견줘 그나마 상황이 낫다는 평가도 제기됐다.

주한미국대사관 농무관실은 16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제11차 북한농업세미나’를 열었다. 줌(ZOOMㆍ화상회의시스템) 중계도 했다.

안드레아 바뇰리 유엔세계식량계획(WFP) 평양사무소장은 ‘북한 식량안보 상황: 2년간의 코로나 봉쇄, 동향, 전망’ 주제발표에서 “2018년을 경계로 식량 소비와 섭취 식품 다양성이 크게 악화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코로나19 발생 우려로 지난해 4월을 마지막으로 현지에 남아 있던 국제기구 관계자를 전부 국경 밖으로 보냈다. 바뇰리 소장은 지난해 10월 임명됐지만 1년이 다 되도록 북한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그는 “내부 자료와 위상 영상 등을 통해 파악한 북한의 식량 소비 부족지수(Poor Food Consumption Score)를 보면 2014년 33%에서 2018년 3%까지 감소하는 등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19년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지난해엔 71%로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북한은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2014년 개인 영농의욕을 강조한 ‘포전담당책임제’를 본격 도입하면서 농업생산성 제고에 힘쓴 바 있다. 또한 2018년엔 큰 흉년이 들어 식량 생산량이 평년과 견줘 12% 감소했다.

바뇰리 소장은 “2018년엔 설탕ㆍ과일ㆍ견과류ㆍ고기ㆍ유지류ㆍ채소ㆍ곡물 등 7가지를 섭취했지만 2021년엔 고기ㆍ유지류ㆍ채소ㆍ곡물 등 4가지로 줄었다”고 말했다.

식량상황이 나빠지면서 농민ㆍ비농민간 희비도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농민은 지난해 식량 소비 부족지수가 54%였지만 국가 배급을 받는 사람은 84%나 됐다.

북한에선 농민은 협동농장 연간 수확량 가운데 국가계획량과 생산비를 제외한 물량을 자신의 노력 정도에 따라 분배받는 식으로 소득을 얻는다. 도시민은 원칙적으로 국가로부터 배급을 받는다.

협동농장 생산이 늘었다기보다는 농민의 경우 텃밭과 개인가축을 소유한 사례가 많아 식량 사정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파악된다.

바뇰리 소장은 “국가 배급망에 속한 사람이 전체 인구의 70%가량으로 훨씬 많다”면서 “최근 악화한 식량사정은 시장활동에 의지했던 도시지역에서 더 큰 타격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